Surprise Me!

선두주자도 신생기업도 상업화 도전…남은 과제는?

2023-05-26 0 Dailymotion

선두주자도 신생기업도 상업화 도전…남은 과제는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누리호 3차 발사 성공으로, 한국은 위성의 상업화 서비스의 첫발을 뗐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세계 각국 선두주자와 신생기업들의 치열한 경쟁 속에,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제도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세계 각국의 우주 발사체 발사는 186차례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스페이스X사가 76회로 가장 많았고, 중국이 64차례로 뒤를 이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21차례, 뉴질랜드도 9차례였습니다.<br /><br />급속도로 커가는 우주시장 놓고 선두주자들의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는 겁니다.<br /><br />비록 실패했지만 스페이스X의 달·화성 탐사용 우주선 '스타십' 시험 비행이나 일본의 새 주력 대형 로켓 'H3'의 발사처럼, 새 수요 창출을 위한 시도도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각국의 신생업체들도 앞다퉈 도전장을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각국의 시장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, 100~200kg짜리를 쏠 수 있는 로켓을 만들어 가지고 서비스 하겠다. 전세계 수백개 신생기업들이 그쪽 영역을 보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우리나라가 연내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, 우주 경제시대를 열겠다는 것도 결국 이 시장에 참여하기 위한 겁니다.<br /><br />5년 내 독자 발사체 엔진을 개발해 2032년 달에 착륙하고, 2045년 화성에 가는 목표도 같은 연장선입니다.<br /><br /> "쉽지 않은 문제입니다. 더 이상 연구원, 산업체, 학계 구분을 하지 말고 원팀으로 해서 결국 해외에 대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수밖에 없다."<br /><br />누리호가 신뢰성 확보를 위해 3번 더 발사될 예정이지만, 정작 상업 발사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는 여전히 과제입니다.<br /><br />추진력과 운송중량을 높이고 재사용이 가능한 발사체 개발 역시, 결국 독자 시장 개척과 수요 창출을 통한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만 지속 가능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지구밖_패권전쟁 #누리호_성공 #상업발사시장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