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운항 중이던 비행기 문을 승객이 쉽게 열릴 수 있는 걸까요? <br> <br>열릴 수 있다고 하네요. <br> <br>조현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열린 비상문 틈으로 거센 바람이 승객들에게 몰아칩니다. <br> <br>비상문이 열린 여객기는 상공에서 탈출장치가 떨어져 나가는 등 크게 파손됐습니다. <br> <br>여객기 비상문의 경우 운항 고도인 6천 미터 이상에서는 기체 안팎의 기압차이로 열리지 않는 구조입니다. <br> <br>다만 이번처럼 착륙을 위해 고도가 낮아지면 비상문 개방이 안에서도 가능합니다. <br><br>상공 300미터 아래로 내려오면 기압이 낮아져 이렇게 손잡이를 당겨서 비상문을 열 수 있습니다.<br> <br>화재, 불시착 등 급박한 상황에서 비상탈출을 해야 하기 때문에 출입문처럼 별도의 잠금장치도 없습니다. <br><br>사고가 난 에어버스321 기종은 비상문 손잡이에 커버만 덮어져 있어 커버를 뜯고 손잡이만 당기면 열 수 있습니다. <br> <br>[정윤식/가톨릭관동대 항공대학장] <br>"에어버스에는 락킹 핀, 고정 핀 방식이 아니고 여압에 의해서 고정하는 방식이래요. <br>그래서 고도가 낮아지면 이제 여압이 이제 차이가 작아지면서 힘 있는 사람은 문을 열 수 있다." <br> <br>다만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비상문 바로 옆에는 승무원들이 앉아 있는데 에어버스 321기종은 소형 항공기라 모든 출입문에 <br>승무원이 배치되지는 않았습니다. <br> <br>사고 여객기도 열린 문 반대편 비상문 옆에만 승무원이 있어 빠른 조치에 나서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아시아나항공 관계자] <br>"정반대편에 있는 승무원은 그거(문을 열려는 걸)를 확인을 했고, 제지를 시도를 했습니다." <br> <br>지난 2019년 9월에도 인천공항을 떠나 캄보디아 프놈펜으로 가던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승객의 출입문 개방 시도로 회항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김건영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조현진 기자 jji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