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창적 소재와 시선으로 동양화의 지평을 넓히고 있는 MZ 세대 작가들이 눈길을 끕니다. <br /> <br />불교 회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거나 제주 풍경의 이면을 들여다본 작품으로 세상을 향한 새로운 시선을 선사합니다. <br /> <br />이교준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박웅규 작가의 연작 '더미'는 얼핏 보면 대칭적 조형미가 돋보이는 불교회화처럼 보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론 한지에 붓과 먹으로 세밀하게 그린 소의 창자입니다. <br /> <br />벌레나 괴물, 내장 등 혐오스러운 대상을 줄곧 작품의 소재로 삼은 데엔 이런 사물에 대한 불쾌감의 원천에 대한 성찰에서 비롯됐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웅규 / 작가 : 저 대상을 보고 제가 왜 그런 부정적인 감정을 느꼈는지가 저한테 더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었던 것 같아요. 그래서 거기서 느꼈던 어떤 부정적인 어떤 조형적 특질들을 가지고 와서 그걸 다시 제 작품 안에서 새롭게 다시 재구성하는 거죠.] <br /> <br />108 번뇌를 끊고자 참선을 하듯 성과 속, 정과 부정의 이분법에서 벗어난 붓의 수행을 이어가며 세상에 포용의 메시지를 던집니다. <br /> <br />30대 초반의 현승의 작가는 고향 제주의 이면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상의 인물 아무개 씨의 제주 휴가를 상상하며 그린 동양화에는 쓰레기 더미와 앙상한 구상나무 등 불편한 장면이 곳곳에 숨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관광명소의 낭만적 이미지 뒤에 가려진 환경오염과 4·3 항쟁의 비극 등 이면을 들춰내려는 예술적 시도입니다. <br /> <br />[현승의 / 작가 : 제주도가 관광지다 보니까 관광산업으로 인해서 어떤 촉발되는 그런 사회적 문제, 환경적 문제들을 좀 그 이면의 이야기들을 끌어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두 겹의 장지에 먹을 차곡차곡 쌓아올리는 동양화의 '적묵법'에 파스텔과 목탄 등을 덧칠해 표면 위로 쉽게 드러나지 않는 사회 문제와 역사의 상흔을 깊이 있고 묵직하게 표현했습니다. <br /> <br />30대 작가 두 명의 참신한 시각은 세상과 자연, 사회에 대한 각성의 체험을 제공합니다. <br /> <br />YTN 이교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◆ 전시 정보 박웅규 개인전 '의례를 위한 창자' <br /> <br />7월 1일까지 /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<br /> <br />2023 금호영아티스트 2부 - 이희준 임노식 현승의 개인전 . <br /> <br />6월 11일까지 / 금호미술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교준 (kyojoon@ytn.co.kr)<br />촬영기자 : 이현오 이동형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052703364646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