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백악관 vs 공화당…부채 한도 협상 ’수렁’ <br />재무부 잔고 500억 달러 밑돌아…디폴트 초읽기 <br />미국 국채 8,700억 달러어치 보유한 중국도 초조<br /><br /> <br />미국의 최대 견제 대상인 중국은 미국의 최대 채권국 가운데 하나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채무 불이행, 디폴트에 빠질까 중국도 불안할 수밖에 없는데, 악재로 작용하는 것만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백악관과 공화당의 팽팽한 줄다리기로 수렁에 빠진 부채 한도 협상. <br /> <br />재무부 현금 잔고는 500억 달러를 밑돌며 바닥을 드러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디폴트 (채무 불이행) 시한은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: 매카시 의장과 협상은 예산의 윤곽에 관한 것이지, 디폴트에 관한 게 아닙니다.] <br /> <br />[케빈 매카시 / 미 공화당 소속 하원의장 : 모두가 동의하기 전에 합의는 없습니다. 아직 해결해야 할 몇 가지 문제가 남아 있어요.] <br /> <br />8,700억 달러에 달하는 미국 국채를 보유한 중국은 초조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디폴트에 빠지면 채권 가치 폭락에 이어, 외환 보유액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불행 중 다행인 건, 미국의 최대 채권국이었던 중국이 이전 트럼프 행정부와 갈등을 빚으며 보유 자산을 대폭 줄여왔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대신 일본이 최대 채권국으로 떠올라, 현재 1조 1천억 달러어치를 쌓아 둔 상탭니다. <br /> <br />달러에 대한 불신 확대는 중국에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 중국은 러시아와 중동, 남미 등지에서 위안화 결제망을 넓혀가며 달러의 기축 통화 지위를 흔들어 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마오닝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(지난 23일) : 미국이 책임 있는 재정·통화 정책을 채택해서 전 세계에 위험을 전가하지 않길 바랍니다.] <br /> <br />사상 초유의 미국 디폴트 위기에 중국이 울기도 웃기도 애매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52713091616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