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의원제 폐지·혁신기구 갈등…민주 '쇄신' 첩첩산중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강성지지층인 이른바 '개딸'의 처리 문제를 놓고 갈라졌던 민주당은 쇄신 방향을 놓고도 충돌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혁신기구와 대의원제를 둘러싼 계파 갈등이 격화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수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14일, '쇄신'을 키워드로 던진 의원총회 이후 다시 열린 민주당 의총에선 '대의원제'를 둘러싼 공방이 오갔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친명계를 중심으로 폐지 필요성이 제기됐는데, 전당대회에서 대의원의 1표의 가치가 권리당원 60표 만큼의 비중을 갖게 되는 현재의 구조가 '돈 봉투 사건'의 원인이 됐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돈봉투 의혹의 통로가 저는 대의원제라고 생각합니다. 당대표도 한 표, 국회의원도 한 표, 대의원도 한 표, 당원도 한 표 이러면 돈봉투 사라집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비명계에선 영남 지역 등 당세가 상대적으로 약한 지역의 권리당원 수가 적은데, 전국 정당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선 대의원제가 필요하다고 반박합니다.<br /><br /> "민주적인 대의원 제도로 가야지, 대의원제를 폐지하는건 안된다는 겁니다. 당원들에 의해 선출되는 대의원으로…"<br /><br />또 물밑으론 대의원이 사라져서 모든 당원이 1인 1표를 행사하게 될 경우 '팬덤 정치'가 득세하게 되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혁신기구 구성을 두고도 위원장 인선부터 권한 범위까지, 계파 간 입장차가 여전합니다.<br /><br />비명계는 원외 인사가 전권을 쥐고 실질적인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, 친명계는 임명직인 위원장이 당원이 선출한 당 대표의 권력을 앞설 수는 없다고 맞서는 상황.<br /><br />혁신기구 위원장에게 전권을 부여하는 방식이 채택될 가능성은 낮게 점쳐지는 가운데 이재명 대표의 결정에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수강입니다. (kimsookang@yna.co.kr)<br /><br />#대의원제 #혁신기구 #계파갈등 #의원총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