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·미·일 등 IPEF 14개국, 공급망 협정 타결 <br />위기 발생하면 ’공급망 위기대응 네트워크’ 가동 <br />14개국 ’공급망 위원회’ 구성해 적극 협력 <br />중국, 미국 주도 협정 타결에 강력히 반발할 듯<br /><br /> <br />미국이 주도하고 우리나라도 참여하는 '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'(IPEF)가 공급망 협정을 타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협의체가 출범 1년 만에 첫 성과물을 냄에 따라 중국의 반발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연결합니다. 김태현 기자! <br /> <br />14개국의 공급망 합의 관련 내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, IPEF 장관회의에서 14개국이 공급망 협상을 타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.미.일 등 참여국들은 공급망 위기가 발생하면 '위기대응 네트워크'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상호 공조를 요청하고, 대체 공급처 파악과 대체 운송로 개발, 신속 통관 등에 협력하기로 한 겁니다. <br /> <br />'공급망 위원회'도 구성해 공급망에 부정적인 조치를 자제하고, 투자 확대와 공동 연구개발에 힘쓰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공급망 안정화에 필수적인 숙련 노동자 육성과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'노사정 자문기구'도 운영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 합의를 도출한 IPEF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주도하는 협의체로 알려져 있는데요. <br /> <br />중국이 반발하겠군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미중 간의 전방위적인 갈등 속에서 중국이 강력히 반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정부는 앞서 "각국이 중국과 함께 다자 무역체계를 유지하고 국제 산업 공급망의 안정성을 유지하길 바란다"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 당국자는 "이번 합의에 중국이 반발할 만한 요소는 없고, 특정국 배제를 목적으로 하지 않았다"면서 "주요 교역, 투자 협력 파트너인 중국과 긴밀한 관계를 지속해 나갈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5월 공식 출범한 IPEF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주도해 만든 협의체입니다. <br /> <br />한.미.일과 호주, 인도, 태국, 베트남, 필리핀, 싱가포르, 피지 등 14개국이 참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공급망 외에 무역 등 다른 분야의 협력과 이후 추진 과정은 어떻게 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IPEF는 4개 분야의 협상을 지난해 9월부터 이어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급망 외에도 무역, 청정 경제, 공정 경제 등의 분야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나머지 분야의 협상을 계속 추진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현 (kim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52812092042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