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북한 7년 만의 위성발사...예상 경로와 기술 진전은? [앵커리포트] / YTN

2023-05-30 830 Dailymotion

북한의 예고대로면, 잔해물 낙하가 예상되는 해역은 서해 2곳과 필리핀 동쪽 해상 1곳입니다. <br /> <br />위성을 실은 운반체는 발사 직후 충남 대천항에서 서쪽으로 230~300km 거리의 서해 공해로 1단 추진체가 떨어질 것으로 보이고요. <br /> <br />이후 비행을 이어가다가 제주 해군기지에서 서쪽으로 270~330여km 떨어진 서남해 공해 상에 페어링, 즉 '위성 보호 덮개'를 떨어뜨리고요. <br /> <br />2단 추진체는 필리핀 루손섬 동쪽 약 700~천km 떨어진 해상까지 날아가 낙하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. <br /> <br />일본 해상보안청은 해당 경로에 항행경보를 내리고, 통행 선박에 주의를 당부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밝힌 대로 다음 달에 발사를 진행한다면, 2016년 '광명성-4호' 발사 이후 7년 만인데요. <br /> <br />이게 바로 북한이 공개한 광명성-4호 발사 영상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'광명성 4호' 발사 당시 2월 7∼14일로 국제기구에 통보한 뒤 예고 첫날인 7일에 쏴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우리 군 당국은 서해에서 북한 장거리 미사일의 1단 추진체 일부로 추정되는 잔해를 인양했는데요. <br /> <br />수거된 미사일 추진체의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북한에서는 1단 로켓을 의도적으로 폭파했던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 발사 예고를 앞두고 일본은 북한 탄도미사일이 자국 영역에 낙하하면, <br /> <br />공해 상공에서 파괴하기 위해 '파괴 조치 명령'을 자위대에 발령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7년 전 광명성 4호의 발사 경로와 비교해볼까요? <br /> <br />두 비행체의 이동 경로가 전체적인 틀에서는 비슷하죠. <br /> <br />차이를 보면, 1단 로켓은 광명성 발사 때보다 발사 지점인 동창리에서 더 먼 서해에 떨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1단 추진체의 추력이 더 강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통보한 대로면 2단 로켓도 이전보다 더 먼, 필리핀 루손 동쪽 해상에 떨어질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군 전문가들은 "광명성 4호보다 더 무거운 정찰위성을 500km 고도까지 올려보내기 위해 1, 2단 추진체 모두 연소 시간과 비행 속도 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"고 분석합니다. <br /> <br />[김종대 연세대 통일연구원 객원교수 / 오늘 SBS라디오 '김태현의 정치쇼' : 지난번보다는 조금 더 진일보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. 우주발사체도 많이 향상됐다고 봐요. 전에 쏘아 올릴 때는 노동에 쓰는 엔진을 4개를 묶어서 이렇게 1단을 썼었고 얼마 전 이번에는 아마 화성-17호 같은 백두산 엔진을 쓸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. 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53014273679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