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 소아과 가려면 오픈런까지 해야할 정도로 붐비다보니, 비대면 진료가 되면 좋겠다는 분도 계시던데요. <br> <br>비대면 진료 시범 실시 형태로 되긴 하는데, 약 처방을 받을 수 없고, 여러 제약이 많습니다. <br> <br>서주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의사가 비대면 원격 진료로 환자 상태를 확인합니다. <br> <br>[백재욱 / 가정의학과 전문의] <br>"좌측 유방에 염증있던거 있잖아요. 어때요? 아이고 좋아졌네요." <br> <br>[60대 환자] <br>"처음엔 조금 가렵다가 흉지기도 하고…" <br> <br>코로나19 확산 이후 이런 비대면 진료가 한시적으로 허용돼 1400만 명이 전화나 화상으로 병원 진료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모레부터는 코로나 비상사태가 종료되면서 비대면 진료도 중단됩니다. <br> <br>다만 법적 근거가 마련될 때까지 시범사업 형태로 제한적인 비대면 진료는 가능합니다. <br> <br>시범 사업은 재진 환자 위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. <br><br>섬·벽지 환자, 거동 불편자, 소아·청소년 환자 등만 초진을 허용합니다. <br> <br>18세 미만 소아청소년환자는 휴일·야간만 비대면 초진을 받을 수 있는데 상담만 가능해 약 처방은 받을 수 없습니다.<br> <br>그런데 진료비는 대면 보다 9% 더 내야합니다. <br> <br>[황순자 / 부산 진구] <br>"아이들이 또 좀 더 낫기 위해서는 처방까지도 진행이 되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어서…" <br><br>소아과 의사단체도 "아이들 목숨을 걸고 의사들한테 도박을 하라는 것과 다름없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대면 진료보다 30% 높게 책정된 비대면 의료수가도 논란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건보재정 거덜 내는 비대면 진료 반대한다! 반대한다! 반대한다!" <br> <br>약사 단체는 높은 수가로 결국 건강보험재정이 악화돼 전체 의료현장에 부담이 될 거라며 반대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이승훈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