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주발사체 발사에 실패한 북한이 연일 이례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어제 실패 사실을 빠르게 시인한데 이어, 오늘은 실패한 발사 장면을 사진으로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우리 군은 북한의 발사체 엔진 기술이 발전했고, 새로운 발사대를 사용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평안북도 동창리 발사장에서 3km 가량 떨어진 바닷가에서 정찰위성 만리경을 실은 천리마-1형이 연기를 내뿜으며 날아오릅니다. <br> <br>북한이 오늘 공개한 실패한 위성발사체의 발사 장면입니다. <br> <br>정당한 위성발사였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공개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<br>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"군사정찰위성은 머지않아 우주 궤도에 정확히 진입하여 임무수행에 착수하게 될 것"이라며 추가 발사를 예고했습니다.<br> <br>우리 군 당국도 추가 발사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[이종섭 / 국방부 장관] <br>"엔진 출력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좀 더 업그레이드 됐다 이렇게 평가하고 있습니다. 북한에서는 실패한 원인에 대해서 분석해서 추가 발사할 것으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이전 발사와 방식이 달랐다는 분석도 내놨습니다. <br> <br>[이종섭 / 국방부 장관] <br>"기존 발사대는 발사대에다 (두고) 조립해 1단, 2단, 3단 올리는 형태고, 신규 시설은 우리 누리호를 발사했던 것처럼 바로 직립해서 하는 형식이기 때문에…" <br> <br>직립 발사의 경우 기습발사가 가능합니다. <br> <br>다만 우주발사체의 해상도는 "1m 정도"라며 군사정찰위성으로서는 능력이 많이 떨어진다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군 당국은 서해상에 발견된 발사체 잔해가 3단 로켓의 2단 부분으로 보고 있는데 모레 쯤 인양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 철 정기섭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