北 위성발사 유엔 대응 또 불발…중-러 "한미 탓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도와 관련해 유엔 안보리 공개회의가 열렸지만 이번에도 성과 없이 끝났습니다.<br /><br />실패했어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한미일의 압박에 중국과 러시아는 확장억제 강화를 문제삼으며 북한을 감쌌습니다.<br /><br />신현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도 사흘 만에 공개회의를 소집했습니다.<br /><br />사실상 장거리 탄도미사일 기술이 사용됐다는 점에서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 위반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북한 문제로 안보리가 열린 건 지난 4월 첫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, 화성-18형 시험발사 이후 40여일 만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이번 발사 시도로 한국과 일본에 경보까지 내려졌던 점을 거론하며 명백한 긴장 고조 행위라고 맹비난했습니다.<br /><br /> "실패한 발사라고 해서 무시해선 안됩니다. 북한이 스스로 능력을 깨닫고 그에 따라 불법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어떻게 진전시킬지 결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"<br /><br />당사국 자격으로 회의에 참석한 황준국 주유엔대사도 "위성 대신 핵탄두를 탑재하면 핵무기가 되는 것"이라면서 "실패한 발사라고 해서 침묵해서는 안 된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중국과 러시아는 이번에도 미국의 책임으로 돌리며 북한을 감쌌습니다.<br /><br /> "안보리가 건설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? 모든 책임을 한 쪽에게 돌리는 것이 건설적인가요? 당연히 그렇지 않습니다. 갈등과 도발을 악화시키고 이미 긴박한 한반도 정세에 새로운 불확실성을 주입할 뿐입니다."<br /><br />특히 중국은 최근 한미 정상이 합의한 워싱턴선언을 거론하며 "한반도 비핵화 증진과 평화 유지 목표에 위배된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도 소위 확장억제라는 개념 아래 미국과 그 동맹들이 대북 압력을 높이고 있기 때문에 긴장이 고조되는 것이라며 한미일을 겨냥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이번에도 설전만 주고 받았을 뿐 규탄 성명이나 추가 제재 결의안 채택 같은 공식 대응에는 합의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.<br /><br />#안보리 #북한위성 #정찰위성 #만리경1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