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성형 AI 구동하려면 데이터 처리 빠른 GPU 필요 <br />엔비디아, 세계 GPU 시장의 90% 이상 공급 <br />엔비디아, 반도체 기업 최초 시총 1조 달러 도달 <br />젠슨 황 "AI 개발로 새로운 컴퓨터 시대 열려"<br /><br /> <br />반도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넘은 미국 엔비디아의 돌풍으로 한국 반도체 업계에도 기대감이 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데이터 저장에 필요한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도 늘 것이란 전망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파운드리 등 시스템 반도체 도약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챗GPT같은 생성형 AI를 구동하려면 현재로선 연산처리 능력이 뛰어난 GPU, 즉 그래픽처리장치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시스템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는 전 세계 GPU 시장의 90% 이상을 장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덕에 주가가 연초 대비 2-3배가량 올라 반도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시가총액 1조 달러를 찍었습니다. <br /> <br />엔비디아의 CEO, 젠슨 황은 최근 타이완에서 열린 IT 박람회에서 인공지능 개발로 새로운 컴퓨터 시대가 열렸다며 앞으로 더 큰 성장을 자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젠슨 황 / 엔비디아 CEO : 생성형 AI는 인간 언어로 프로그래밍하는 새로운 종류의 컴퓨터 기술입니다. 현재 클라우드에서 챗 GPT를 실질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유일한 GPU는 HGX A100입니다.] <br /> <br />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같은 AI 서비스 업체들이 GPU 주요 고객인데, GPU는 일반적으로 메모리 반도체와 함께 공급됩니다. <br /> <br />메모리 수요 증가는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기술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최근 개발한 고대역폭메모리를 독점 공급하고 있고 삼성전자도 12나노급 고성능 D램을 양산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삼성 이재용 회장이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엔비디아 CEO를 만난 것도 반도체 영업과 관련 있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[김용석 / 성균관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: 챗GPT가 본격적으로 활용되면서 GPU와 함께 고대역의 메모리 (반도체) 사용이 증가하면서 삼성이나 SK하이닉스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생각됩니다.] <br /> <br />챗GPT 열풍과 함께 시작된 엔비디아의 독주는 당분간 이어지겠지만, 앞으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은 AI 전용 반도체 개발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기업들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한발 뒤처져 있지만 최근 수도권 반도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영상편집 : 전자인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60405265353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