심해잠수사 투입해 북 발사체 잔해 확보 시도…"오늘쯤 수면위 떠오를듯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정찰위성을 발사했다 실패한 뒤 군 당국이 서해에서 잔해 인양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(3일)는 수중잠수부까지 투입했지만, 여러 제약으로 인해 작업이 중단됐는데요.<br /><br />잔해를 인양하면 한미는 공동 조사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최지원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군 당국이 서해에 추락한 북한의 정찰위성 잔해를 발견한 건 지난달 31일, 북한이 발사체를 쏜 당일입니다.<br /><br />합참에 따르면 우리 군은 이 잔해를 건져 올리기 위해 며칠째 인양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발사체는 비정상적으로 비행하여 어청도 서방 200여 km 해상에 낙하하였습니다. 우리 군은 발사체 일부를 식별하여 인양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잔해는 75m 수면 아래에 가라앉아 있는데, 길이가 15m에 달하는 데다 무게도 무거워 인양 작업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군 당국은 인양에 필요한 심해 수중 작전을 위해 3200톤급의 수상함잠수함인 청해진함과 3500톤급 통영함과 광양함을 투입했습니다.<br /><br />군은 인양 작전 나흘째 심해잠수부까지 투입했지만, 물살이 잔잔한 '정조시간'에만 작업이 가능한 점 등 현실적 제약으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또한 인양 중인 잔해 외에 다른 발사체 잔해들도 찾고 있는데 수색 범위가 넓은 점도 또 다른 난제로 거론됩니다.<br /><br /> "낙하물이 떨어진 구역이 100km 이상 됩니다. 중간에 비정상적으로 떨어졌기 때문에 그 (낙하지점을) 추적하는 것은 사전에 예측한 부분이 없습니다."<br /><br />여러 제약에도 불구하고 실제 인양에 성공하면 한미 당국은 잔해를 공동조사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한미 국방장관이 샹그릴라 대화를 계기로 싱가포르에서 만나 이같이 합의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한미가 북한 발사체 잔해에 대해 공동조사를 하게 되면 지난 2012년 북한의 은하 3호 로켓 잔해 조사 이후 11년 만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원입니다.<br /><br />최지원 기자 (jiwoner@yna.co.kr)<br /><br />#위성_잔해_인양 #심해수중작전 #청해진함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