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·러 군용기 8대, 한국 방공식별구역 진입 후 이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 군용기 8대가 오늘 우리나라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했다가 이탈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이 오늘 러시아와 함께 동해와 동중국해 상공에서 연합 공중 순찰을 했다고 밝힌 것과 연관이 있어 보이는데요,<br /><br />국방부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얘기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합동참모본부가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의 한국 방공식별구역, KADIZ 진입 사실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합참은 "오늘 오전 11시 52분부터 오후 1시 49분까지 중국 군용기 4대와 러시아 군용기 4대가 남해와 동해 KADIZ에 순차적으로 진입했다가 이탈했다"며 "영공 침범은 없었다"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이어 "우리 군은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KADIZ에 진입하기 전부터 식별했고, 공군 전투기를 투입해 우발 상황에 대비한 전술 조치를 실시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방공식별구역은 자국 영공으로 접근하는 외국 군용기를 조기에 식별해 대응하기 위해 설정하는 임의의 선으로, 개별 국가의 영토와 영해의 상공으로 구성되는 영공과는 다른 개념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다른 나라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하려는 군용 항공기는 해당 국가에 미리 비행계획을 제출하고 진입 시 위치 등을 통보하는 것이 국제적 관행입니다.<br /><br />이번 KADIZ 진입은 중국과 러시아의 연합 공중 훈련과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.<br /><br />앞서 중국 국방부는 위챗 공식 채널을 통해 "중국과 러시아가 양국 군의 연간 협력 계획에 근거해 오늘 동해와 동중국해 관련 공역에서 연합 공중 전략 순찰을 실시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과거에도 중국과 러시아는 합동 순찰이나 연합훈련 등 명목으로 군용기를 KADIZ에 여러 차례 진입시켰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사례로 지난해 5월과 11월 중·러 군용기가 KADIZ에 진입했다가 이탈한 적이 있고, 중국 단독으로는 지난 1월 군용기 2대가 이어도 남서쪽 KADIZ에 진입했다가 이탈한 적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