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크라이나전이 다시 불붙고 있죠. <br> <br>우크라이나 남부 지역의 대형 댐이 붕괴돼, 주민 수만 명이 홍수 피해를 입었고 실종자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대형 원전까지 있는 지역입니다.<br> <br>김윤수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섬광이 번쩍이더니 강한 폭발이 일어납니다. <br> <br> 짙은 연기와 함께 사방으로 파편이 흩날립니다. <br> <br>러시아가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의 길이 3.2km 카호우카 댐이 파괴된 건 현지 시간 어제 오전. <br><br> 우리나라 최대 호수인 소양호의 6배에 달하는 물을 담고 있는 댐이 파괴되자 아래 마을은 물바다가 됐습니다. <br> <br>[드미트로 / 우크라이나 헤르손주 주민] <br>"광장이 물에 잠기기 시작하더니 30분 쯤 뒤엔 저희 집 문 앞까지 물이 차오르기 시작했어요." <br> <br> 거센 물살에 집도 통째로 떠내려갑니다. <br> <br> 댐 주변 십여 개 마을 주민 2만여 명에 긴급 대피 명령이 내려졌고, 현재까지 최소 7명이 실종됐습니다. <br> <br>[레온티에브 / 카호우카 시장] <br>"하수 펌프장과 전력선이 파괴됐고, 주택과 많은 기반 시설이 이미 침수되었습니다." <br> <br> 물이 넘쳐흐르는 거리를 비버가 배회하고, 물 위에서 표류하는 개는 겨우 목숨을 건졌습니다. <br> <br> 댐의 물을 냉각수로 사용하는 인근 자포리자 원전은 당장 위험한 상황은 아니지만 다음주 IAEA 사무총장이 직접 찾아 점검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주장은 엇갈립니다. <br> <br>[볼로디미르 젤렌스키 / 우크라이나 대통령] <br>"러시아 군이 댐을 고의로 파괴했습니다. 대량 살상용 환경 폭탄을 터뜨린 겁니다." <br> <br>[드미트리 페스코프/ 러시아 대통령 대변인] <br>"우크라이나 군이 시작한 대규모 공격이 먹혀들지 않자 이런 테러를 저지른 겁니다." <br> <br> 미국은 배후를 단정하기 어렵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가운데, 일부 전문가들은 포격이 아닌 내부 폭발로 보인다며 러시아 소행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윤수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박혜린<br /><br /><br />김윤수 기자 ys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