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정부의 안보 전략 청사진이 나왔습니다.<br> <br>문재인 정부와 달리 북한 핵을 최대 위협으로 적시했고, 한미일 중심의 외교 구상이 담겼습니다.<br> <br>구체적인 국가안보전략서 내용을 김호영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대통령실이 윤석열 정부 국가안보전략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북한의 핵 위협에 대해 별다른 언급을 안 했던 문재인 정부 국가안보전략서와 달리 "북한의 핵과 대량살상무기는 우리가 당면한 최우선적 안보 위협"이라고 기술했습니다.<br> <br>힘에 의한 평화를 강조하면서 상호주의를 내세웠습니다. <br> <br>북한의 태도 변화가 우선이라는 겁니다. <br> <br>[김태효 / 국가안보실 1차장] <br>"담대한 구상을 이행하면서 전반적인 남북관계를 우리의 방향성에 맞게 추진해나가는 것입니다." <br> <br>주변국과의 협력에서는 미국과 일본을 중시했습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 때 기술된 '역사왜곡 및 독도에 대한 부당한 주장 등에 단호히 대응한다'는 내용이 빠졌고, 대신 '김대중-오부치 공동선언 정신을 발전적으로 계승해 과거를 직시하고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나간다'는 내용이 들어갔습니다.<br> <br>한미일 협력도 강조됐는데 '새로운 수준으로 한미일 협력 제고'라고 적었습니다. <br> <br>반면 중국과 러시아에 대해서는 대북 제재 강화에 반대하며 한반도 문제를 정치적으로 해결하려 한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> <br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해 대러 외교 정책의 전면 재검토 필요성까지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중국, 러시아와도 전략적인 소통의 끈을 유지중이라며 외교 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겠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호영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한규성 김근목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김호영 기자 kimhoyoung11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