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노동계와 정부 사이 공식 대화 채널이 막혔습니다.<br> <br>한국노총이 경제사회 노동위원회 참여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는데요. <br> <br>고공 농성 진압에 따른 갈등이 결국 대화 단절로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염정원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[현장음] <br>"중단하라! 중단하라! 노동탄압 중단하라! 투쟁!" <br> <br>전남 광양에서 긴급 중앙집행위원회를 가진 한국노총이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를 전면 중단한다고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지난달 31일 포스코 광양제출소 앞에서 고공농성을 벌이던 한국노총 간부를 경찰이 강제 연행하는 과정에서 빚어진 강경 진압 논란이 배경으로 꼽힙니다. <br> <br>[김동명 / 한국노총 위원장] <br>"노동 탄압에 맞서는 우리의 일관된 하나 된 입장, 하나로 힘을 모으는 것, 이것만이 유일하게 우리가 맞서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1998년 외환위기 극복을 위해 출범한 근로자와 사용자, 정부간 대화 기구는 초기 노사정위를 거쳐 현재 경사노위까지 이어져 왔습니다. <br> <br>주 5일제, 주 52시간제 등 굵직한 노동 현안들을 합의하는 창구였습니다. <br> <br>민노총이 1999년 탈퇴한 이후 노동계를 대표해온 한국노총의 이번 불참 선언으로 노동계와 정부 사이 공식 대화 창구가 사실상 닫히게 된 셈입니다. <br> <br>완전 탈퇴 여부는 한국노총 집행부의 판단으로 남겨놨지만, 주52시간 개편, 포괄임금제 등 윤석열 정부가 추진 중인 노동개혁에 차질이 생기게 됐습니다. <br> <br>[박지순 /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장] <br>"노동개혁이 국민적인 지지와 공감 속에서 좀 더 강력한 추진체가 필요한데, 그게 노사정 대화, 사회적 대화라고 봐야 되지 않겠느냐." <br> <br>한국노총은 내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 논의 결과를 공식 발표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정승환 <br>영상편집: 이승은<br /><br /><br />염정원 기자 garden9335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