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노총, 2016년 이후 7년 5개월 만에 불참 선언 <br />최종 ’탈퇴’ 결정은 김동명 위원장에 위임 <br />최종 탈퇴 여부는 대정부 압박 카드로 활용할 듯 <br />경사노위 "매우 안타깝다…대화 재개 촉구"<br /><br /> <br />한국노총이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를 전면 중단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박근혜 정부 시절 이후 7년 5개월여 만에 사회적 대화 불참을 선언한 건데, 이로써 노사정 대화 창구가 단절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신지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노총 중앙집행위원회는 고공농성을 벌이던 금속노련 간부들이 체포된 전남 광양에서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과잉 진압에 대한 성토가 이어진 중앙집행위원회에서는 결국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 전면 중단이 결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[이지현 / 한국노총 대변인 : 윤석열 정부 심판 투쟁의 일환으로 경사노위 참여와 비참여를 바라보는 것이고 오늘부로 경사노위의 모든 대화기구에서 한국노총은 전면 중단할 것임을 결의했습니다.] <br /> <br />한국노총이 사회적 대화를 전면 중단한 것은 2016년 박근혜 정부 시절, 노동시장 유연화에 반대하며 불참한 이후 7년 5개월 만입니다. <br /> <br />이로써 노정 대화는 물론 노사정이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 창구는 당분간 단절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최종 '탈퇴' 결정은 김동명 위원장을 비롯한 집행부에 위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불참이 아니라 탈퇴를 선언할 경우 재가입을 위한 별도 의결 절차까지 거쳐야 한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또, 대정부 투쟁 과정에서 경사노위 최종 탈퇴라는 또 하나의 정부 압박 카드를 남겨 놓은 것으로도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한국노총은 경사노위 참여 중단과 동시에 한층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동명 / 한국노총 위원장 : 유혈진압 사태의 이면에는 윤석열 정권의 뿌리 깊은 노동 혐오와 정치적인 계산, 술수, 이런 것들이 숨어있다고 판단됩니다. 한 번의 뜨거운 투쟁이 아니라 정권 내내 강력하고 끈질기게 지속해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 1999년, 경사노위 전신인 경제사회노사정위원회가 출범할 때부터 탈퇴를 선언했던 민주노총과 달리, <br /> <br />크고 작은 위기를 넘기며 대화에 참여해온 한국노총 마저 탈퇴할 경우 큰 파장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경사노위는 한국노총 결정에 대해 매우 안타깝다며 대화 복귀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지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문한수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지원 (jiwon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0721513598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