캐나다에서 발생한 산불 여파가 미국 뉴욕시에 이어 수도 워싱턴D.C.까지 덮치면서 당국이 대기질 비상 경보인 ‘코드 레드’를 발령했다. <br /> <br /> 7일(현지시간) 뮤리얼 바우저 워싱턴 시장은 48시간 동안 ‘코드 레드’ 대기질 경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. 이에 따라 시민들에게 이와 관련한 예방 조치를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. <br /> <br /> ‘코드 레드’는 미 환경보호청(EPA)의 대기질 지수(AQI)가 151~200 사이일 때 발령되는 경보로 노약자, 어린이, 임산부 등 취약계층 주민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는 상황을 뜻한다. 여섯 단계의 대기질 지수 중 네 번째 단계다. <br /> <br /> <br /> 워싱턴 시장실은 “캐나다 산불로 인한 연기로 미국 북동부 지역의 대기질이 악화하고 있다”며 “문제가 금요일까지 지속되거나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”고 경고했다. <br /> <br /> 실제로 이날 워싱턴 하늘은 연기로 뿌옇게 변했고 주민들은 코로나19 방역 완화 이후 처음으로 야외에서 다시 마스크를 쓰기 시작했다고 현지 DC뉴스는 전했다. <br /> <br /> 워싱턴 당국은 주민들에게 모든 야외 활동이나 운동을 피하고 가급적 실내에 머무를 것을 강력히 권고했다. 또 불가피하게 밖으로 나가야 하는 경우 밀착형 N95 마스크를 착용하라고 안내했다. <br /> <br /> 뉴욕 역시 캐나다 산불로 인해 대기질이 크게 악화됐다. 이날 뉴욕의 AQI는 484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. 뉴욕 하늘은 상징인 ‘자유의 여신상’의 형체를 간신히 알아볼 정도로 탁해졌다. <br /> <br /> 한편 캐나다 정부는 전국 산불 현황 브리핑을 통해 이날까지 전국 2200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68546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