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에 반도체 팔지 말라더니…미·중은 해빙무드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미국 글로벌 기업들의 거물급 CEO들이 잇따라 중국을 찾아 협력 강화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중국과 갈등 중인 미국 정부는 이에 대해 뚜렷한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반도체를 중심으로 한국 기업에게 노골적으로 '반중' 행보를 압박했던 것과는 대조적입니다.<br /><br />김종력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이 지난달 안보를 이유로 미국 반도체 회사 마이크론 제품 구매를 중단하자, 양국 갈등의 불똥은 한국으로 튀었습니다.<br /><br />미 하원이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마이크론의 빈 자리를 채워서는 안된다는 내용의 서한을 미 정부에 보내며 노골적으로 한국 기업들에게 '반중' 행보를 압박한 겁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최근 미국의 거물급 CEO들의 잇따른 중국 방문과 중국과의 협력 논의에 대해 미 의회와 정부 모두 이렇다 할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중국을 찾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2박 3일의 짧은 일정에도 친강 외교부장 등 고위인사 4명과 만나는 환대를 받았습니다.<br /><br />또 세계 최대 투자은행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, 스타벅스의 랙스먼 내러시먼도 중국을 찾아 미중 해빙 무드를 조성했습니다.<br /><br />이들이 중국을 핵심 공급망에서 배제하겠다는 미 정부의 '디커플링' 전략에도 중국을 찾은 건 14억 인구의 거대 시장 중국을 포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중국 방문 전에 미국의 경제안보당국과 충분한 협의를 했을 것이 분명하고요. 중국에 대한 정책기조가 약간 바뀌는 듯 하기 때문에 글로벌 기업들이 대중국 비지니스를 활성화 시킬 가능성이 높아질 거 같습니다."<br /><br />미 정부도 최근 '디커플링'에서 중국발 위험 요인 제거에 초점을 맞춘 '디리스킹' 전략으로 방향 전환을 꾀하는 상황.<br /><br />따라서 한국에 대한 '반중' 압박에 정부가 대처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.<br /><br />#디커플링 #디리스킹 #미중 #반도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