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출 연체율 급등 비상…"금융 위험 대비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뒤 빠르게 늘어난 대출과 금리 급등 여파로 은행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의 돈줄 죄기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여 상황은 더 나빠질 공산이 큰데요.<br /><br />이 '대출 부실'이 우리 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단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4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 대출 가운데 한 달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비율은 0.304%, 1년 새 두 배 가까이로 뛰었습니다.<br /><br />금리 급등에 경기 둔화까지 겹치며 가계보다 기업들이 돈을 제때 못 갚은 경우가 많았습니다.<br /><br /> "작년보다 금리가 더 올라갔는데요. 양호했던 업체들이 지금 상황이 많이 안 좋아지고 있어요. 작년 12월 말일자로 공장 정리했고요…"<br /><br />2019년 말 906조원이던 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코로나 사태를 거치며 지난해 1,221조원까지 불어났는데, 여기엔 소상공인 대출도 포함됩니다.<br /><br />그간은 대출만기 연장이나 이자 유예로 부실이 드러나지 않았지만, 지난해 하반기부터 연체율은 뚜렷하게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높은 수준의 가계부채 비율 등 누증된 금융 불균형이 아직 해소되지 않은 상황으로 이러한 금융 불균형이 성장 잠재력을 훼손하고…"<br /><br />코로나 사태 기간 이뤄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의 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끝나면 진짜 위기가 올 것이란 전망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금융당국은 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상환유예 이용 차주는 상환계획서에 따라 60개월 분할 상환 시 2028년 9월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금년 9월에 모든 조치가 종료되어 일시에 부실이 현실화 된다는 것은 전혀 아닙니다."<br /><br />금융당국은 연체율이 아직 관리가능한 수준이라지만 경기 침체가 이어질 것이란 우려 속에 금융 위험에 대비해야 한다고 한은은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 (trigger@yna.co.kr)<br /><br />#한국은행 #금융위 #코로나대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