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챗GPT 아버지' 샘 올트먼 "잠재력 있지만 피해 줄 수도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간의 창작 활동까지 넘보는 생성 인공지능의 대표주자 챗GPT를 만든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가 우리나라를 찾았습니다.<br /><br />올트먼은 인공지능, AI의 큰 잠재력을 강조하면서도 위험성에 대한 지적도 잊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서형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 "(혹시 김치 맛보셨습니까?) 물론이죠. 좋아해요!"<br /><br />챗GPT의 개발자 샘 올트먼이 우리나라에 왔습니다.<br /><br />창작이 가능한 AI, 생성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는 가운데, 올트먼은 걱정스런 시선을 피해가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 "이 기술은 한편으로 굉장히 큰 잠재력이 있습니다. 정말 강력한 도구고요. 그런데 피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."<br /><br />죽은 사람을 가상공간 속에 아바타로 살려내는 AI, 반복되는 표절 의혹 등, 생성AI의 등장으로 비롯된 논란에 대해선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개인의 인권을 어디까지 우리가 존중해야 되는지 이런 것들은 사회적인 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이어 AI가 방탄소년단, BTS의 스타일로 노래를 만들었다면, BTS도 해당 노래에 따른 수혜를 받아야한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규제의 필요성도 언급했는데, 다만 AI의 장점이 많은 사람들에게 공유될 수 있어야한다는 전제를 달았습니다.<br /><br />기술과 활용을 구분해야한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 "기술이 아닌 활용 사례에 (규제의) 초점을 맞추는 것입니다."<br /><br />규제로 위험은 줄이되, 기술 혁신은 막지 말아야한다는 얘깁니다.<br /><br />한편 오픈AI는 우리 스타트업 기업들에 관심을 표하며 인공지능 반도체 칩 개발 등에서 협력 의사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#샘알트만 #샘올트먼 #그레그블록만 #그렉브로크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