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최근 지역 축제 현장에서 바가지 요금 논란이 심심찮게 제기되곤 합니다. <br> <br>상인들과 지자체들이 이런 바가지 오명을 벗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습니다. <br> <br>조현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꽃게를 저울에 올리니 소수점 두 자리까지 무게가 확인됩니다. <br> <br>어시장 입구에 설치된 양심 저울입니다. <br> <br>9월 축제를 앞두고 인천 남동구는 시장 상인회와 함께 저울치기나 원산지 속이기 근절을 위한 자정대회를 열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바가지 상술에 대한 소비자들 불신을 해소하자는 취지입니다. <br> <br>소주와 칼국수 같은 음식 가격도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했습니다. <br> <br>[안광균 / 소래포구 전통어시장 상인회장] <br>"(매운탕도) 큰 사이즈로 2만 원해서 저렴하게 받으려고 식당가랑 상인회랑 협의해서 지금 운영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다른 지역들도 대책 마련에 분주합니다. <br> <br>오는 18일부터 열리는 강릉단오제, 주최 측은 축제를 대표하는 먹거리인 감자전과 막걸리 가격을 못박았습니다. <br> <br>감자전은 2장에 1만 2천 원, 막걸리는 1병당 6천 원으로 정했습니다. <br> <br>[김형준 / 강릉단오제위원회 사무국장] <br>"축제 이미지 손실 그리고 지역 나아가서는 강릉 관광 자체에 큰 피해를 줄 수 있으니까…" <br> <br>제주도는 본격 휴가시즌을 맞아 바가지 요금을 막는 조례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행정당국이 관광지 물가 관련 실태조사를 하고,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사안을 개선하는 내용이 골자입니다. <br> <br>그렇지 않아도 다른 곳보다 비싸다는 인식이 강한데, 관광객들에게 과도한 요금을 부과하는 걸 막겠다는 취지입니다. <br> <br>[오지원 / 제주 관광객] <br>"(가격이 비싸면) 시장 방문을 좀 꺼리게 되고 구매 자체도 많이 꺼려지지 않을까. 아예 관광지에 방문을 안할 것 같은…" <br> <br>[이병호 / 제주 동문시장 상인] <br>"욕심만 줄이고 조금만 (이윤을) 덜 가져가겠다고 생각하면 오히려 더 잘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" <br> <br>최근 바가지 요금 논란이 잇따르면서 지역 이미지가 나빠지는 경우가 속출하는 상황, 바가지 요금 근절을 위해 내놓은 대책들이 제대로 효과를 낼지 관심이 모아집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한익 김찬우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br /><br /><br />조현진 기자 jji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