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, 6·10항쟁 기념식 첫 불참…민주주의 훼손 공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의 기념비적 사건으로 꼽히는 6·10 민주항쟁이 올해로 36주년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올해 기념식에는 정부가 불참한 가운데, 정치권에선 책임 공방이 이어졌는데요.<br /><br />최지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987년 6월, 전국에서 울려 퍼진 민주주의를 향한 뜨거운 함성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의 도화선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올해 36주년을 맞은 '6·10 민주항쟁 기념식'은 당시 농성 투쟁이 이뤄졌던 상징적 장소인 서울 명동 대성당에서 거행됐습니다.<br /><br />행사에는 야권 인사들이 집결해 민주주의의 뜻을 기렸지만, 기념식을 주관해 온 행정안전부는 2007년 국가기념일 지정 후 처음 불참했습니다.<br /><br />산하 기관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'윤석열 정권 퇴진'을 구호로 내건 행사에 후원 단체로 이름을 올린 점을 문제삼은 겁니다.<br /><br />정치권은 한목소리로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헌신을 애도하면서도, 정부 불참과 민주주의의 의미를 놓고 선명한 입장차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국민의힘은 야당을 겨냥해 "정당 민주주의가 돈으로 오염되고 의회 민주주의는 다수의 폭거로 파괴되고 있다"면서 "진정한 가치를 바로 세우겠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'민주'라는 숭고한 단어가 더는 사리사욕에 이용되거나 방종과 폭주의 명분이 되지 않도록 그 가치를 반드시 지켜나가겠습니다."<br /><br />더불어민주당은 정부의 기념식 불참을 두고 '천박한 민주주의 인식', '옹졸한 일'이라며 비판을 쏟아냈습니다.<br /><br /> "정부의 옹졸함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. 민주주의 체제임을 부정하는 행위라서 참으로 유감스럽다는 말씀을 다시 한 번 드립니다.<br /><br />이 대표는 SNS에도 글을 올려 "낡은 이분법 청산이 6월 정신을 지키는 길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#6월 항쟁 #정부 #국민의힘 #더불어민주당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