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성전자 상무 등 지낸 전문가, 반도체 기술 유출 <br />8조 원대 투자 약속받고 ’복제’ 공장 건설 추진 <br />반도체 생산 효율성 높이는 공정배치도도 유출 <br />공정배치도·BED, 국가핵심기술 지정된 중요 기술<br /><br /> <br />삼성전자 반도체 핵심 기술을 빼돌린 혐의로 전직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이들이 단순히 영업비밀을 빼돌린 게 아니라, 복제품 수준의 공장을 만들기 위해 치밀하게 내부 정보를 활용하거나 빼돌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종훈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65살 최 모 씨는 삼성전자 상무를 거쳐 경쟁사인 SK하이닉스 부사장도 지내는 등 반도체 분야 최고 전문가로 꼽히는 인물입니다. <br /> <br />퇴사 이후 타이완 전자기기 제조업체 폭스콘과 계약을 맺고 회사를 차려서, 국내 반도체 업계 인력 2백여 명을 영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8년 8월부터는 8조 원대 투자를 약속받아 중국 시안에서 반도체 공장 설립도 추진하면서, 삼성전자의 기술을 유출하기로 마음먹은 최 씨. <br /> <br />최 씨는 중국 시안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그대로 본뜬 공장을 만들기 위해 직원들에게 기술을 빼돌리라고 지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, 삼성전자 중국 시안 공장의 감리를 맡은 협력업체 관계자에게서 공장 설계도면을 넘겨받았고, <br /> <br />반도체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는 공정배치도도 손에 넣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불순물이 생기지 않도록 공장을 관리하는 기술, 'BED'는 삼성전자 출신 직원이 재직 시절 획득한 자료를 그대로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공정배치도와 BED는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됐을 만큼 중요한 기술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, 폭스콘이 약속한 투자금이 끊기면서 공장이 실제로 지어지지는 않았는데, <br /> <br />검찰은 단순히 개별 영업비밀을 빼돌린 게 아니라 사실상 복제 공장을 지으려던 최초의 시도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삼성전자가 입은 피해 최소 3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진성 / 수원지방검찰청 방위사업·산업기술범죄수사부장 : 반도체 기술 유출 범죄는 기업의 생존은 물론 국가 경쟁력, 국가 안보에도 큰 위협이 되는 중대한 범죄입니다.] <br /> <br />최 씨를 포함해 7명을 재판에 넘긴 검찰은 최 씨가 중국 청두시에서 4천6백억 원을 투자받아 다른 공장을 짓는 과정에서도 국내 기술을 유출한 게 있는지 살펴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우종훈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권혁용 <br />영상... (중략)<br /><br />YTN 우종훈 (hun9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1217153419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