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삼성전자도 글로벌 시장에선 갑질을 당할 수 있나 봅니다. <br> <br>미국 반도체 설계기업 브로드컴이 자사 부품을 강매하게 하는 갑질을 하자 공정거래위원회가 나섰는데요. <br> <br>그동안의 내막 안건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세계 3대 반도체 설계 기업 중 하나인 미국 브로드컴. <br> <br>[김양팽 / 산업연구원 반도체 전문연구원] <br>"네트워킹·무선통신과 관련된 통신칩을 브로드컴이 만들고 있다 보시면 될 것입니다. 스마트폰부터 닌텐도 게임기 이런 데도 다 들어가고요." <br> <br>2021년부터 3년간 우월적 시장 지배력을 앞세워 삼성전자가 매년 자사 부품을 7억 6000만 달러 이상 구매하게 하고, 실제 금액이 못 미치면 차액을 배상하도록 강요했습니다.<br> <br>공정거래위원회가 이 같은 갑질에 대한 제재 절차에 착수하자 브로드컴은 지난해 7월 200억 원의 상생 기금 조성을 골자로 하는 '동의의결'을 공정위에 신청했습니다. <br> <br>동의의결은 제재 대상 기업이 자발적인 시정안을 내면 사건을 빨리 끝내주는 제도입니다.<br> <br>하지만 기업이 법적 제재를 피하려 '면죄부'로 악용할 수 있다는 비판이 끊이질 않았고 공정위는 결국 브로드컴의 최종 동의의결안을 기각했습니다. <br> <br>공정위 측은 "삼성전자에 대한 충분한 피해보상 내용이 담겨있지 않다"고 사유를 설명했습니다.<br><br>동의의결안이 최종 결정 단계에서 기각된 건 처음입니다. <br> <br>이번 기각 결정으로 과징금 부과 등 제재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정승호 <br>영상편집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