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통령실이 수능 문제점에 대해 연일 강하게 지적하면서 올해 수능은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수능을 다섯 달 앞두고 학생과 학부모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윤석열 대통령은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문제를 수능에서 배제하되 변별력은 유지하라고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는 이 말이 정규 교과 과정 밖의 문제를 내지 말라는 것이지, 교과서 지문에서만 출제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대신 변별력을 위해 굉장히 '꼬아서' 내는 문제들을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올해 수능 기조가 크게 변할 전망인데, 곧 수시 접수가 시작되는 학교 현장에선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통, '수능 리허설'로 꼽히는 6월 모의고사 결과를 보고, 수능 결과를 예측해 지원 대학을 정하지만 <br /> <br />수능의 문제 유형이 아예 달라질 가능성이 커지면서, 6월 모의고사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워진 겁니다. <br /> <br />[박성현 / 서울목동고등학교 교사 : 킬러 문항이라고 부르는 이런 문항이 어떻게 출제되면서 표준 점수에 영향을 줄 것인가 이게 이제 아이들한테 지도를 하는 교사 입장에서 되게 중요한 부분인데, 이것이 정확하게 어떻게 되는 건지를 알기가 어려운 혼란스러운 상황이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'교육과정을 지킨' 수능이 어떻게 나올 지도 여전히 모호합니다. <br /> <br />평가원은 이제까지 모든 시험을 항상 교육과정 안에서 출제했다고 밝혔는데 <br /> <br />갑자기 어디서 어떤 문제가 있다는 건지, 교육부는 구체적인 설명이나, 예시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민서 / 목동고 3학년 : 지금까지 공부한 게 있는데 (수능) 5개월 전에 바뀐다는 건 좀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해요.] <br /> <br />게다가 모의고사는 보통 그해 수험생들의 실력을 가늠해 난이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, <br /> <br />6월, 9월 두 차례에 걸쳐 변별력을 검토해 왔는데 이제 남은 모의고사는 9월 단 한 번. <br /> <br />올해 수능의 난이도와 방향을 읽기에는 수험생들에게 너무 짧은 기회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유준석 <br />영상편집 : 연진영 <br />그래픽 : 이지희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1622545230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