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정규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은 건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출제하지 않으면서도 변별력은 유지하겠다고 밝히면서 올해 수능시험 난이도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교육 대책의 일환이라는 게 정부 설명인데 교육 현장에서는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지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수학능력시험은 출제 난이도를 예측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입시 전문가들은 큰 틀에서 지난해보다 쉬워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러 영역을 융합하고 꼬아서 내는 이른바 '킬러 문항'이 줄면, 결과적으로 난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특히 대통령이 국어 비문학 출제 난이도를 '콕' 짚어 지적한 만큼 국어 영역이 더 쉬워질 거란 전망인데, <br /> <br />국어와 수학 간 표준점수 격차가 더 벌어져, 이과생이 문과생보다 고득점에 더 유리해진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임성호 / 종로학원 대표 : 지난해는 국어가 쉽게 출제됐고 수학이 어려워서 점수 격차가 큰 것이 문제였는데, 지난해 국어 쉽게 출제된 것보다 더 쉽게 출제하라는 메시지는 수험생에게 있어서는 사실 상당히 좀 당황스럽고 혼란스러운 상황이다….] <br /> <br />상위권과 중상위권의 경쟁이 치열해지고, 중위권이 사라지는 공동화 현상도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[우연철 /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 : 공동화 아닌 공동화 현상이 나타날 날 수도 있어요. 잘하는 애들은 잘하고 못하는 애들은 좀 그렇고 해서, 더 혼란이 가중될 개연성도 있다는 거죠.] <br /> <br />대통령실은 '카르텔'이란 격한 용어까지 사용하며 사교육 대책의 일환임을 강조했지만, 효과는 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학원은 단순히 문제가 어려워서 배우러 가는 곳이 아니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남윤곤 / 메가스터디 소장 : (수능 문제를) 쉽게 내면 사교육비가 줄고, 어렵게 내면 사교육비가 느는 문제가 아니라, 어쨌든 대학 입시가 상대평가로 치러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사교육비가 느는 거죠. 남들보다 한 문제를 더 맞춰야 한다는 욕구 때문에….] <br /> <br />더욱이 입시 변별력을 위해서는 마냥 문제를 쉽게 낼 수도 없는 상황이라, 정부의 갑작스러운 메시지 해석을 두고 교육계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지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신지원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1705044971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