냉방기기 사용량 늘며 에어컨 화재 우려도 커져 <br />에어컨 실외기 등 전선 상태 미리 확인해야 <br />실외기 주변 관리 필요…다중이용시설 취약 <br />에어컨 분해·수리 등은 전문가 서비스 이용<br /><br /> <br />더운 여름에는 에어컨을 많이 틀 수밖에 없죠. <br /> <br />그만큼 실외기 화재도 자주 발생하는데, 전기 과부하가 걸리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본격적인 여름이 다가오기 전에 배선 문제를 점검할 필요가 있는데요. <br /> <br />권준수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동대문구의 한 스크린 골프장. <br /> <br />이곳에 설치된 12대의 에어컨 실외기는 벌써 하루 내내 열을 내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안다원 / 스크린골프장 운영 : 체육시설업이다 보니까 어쩔 수 없이 냉방을 강하게 틀어야 하는 구조예요. 그리고 여름철 같은 경우에는 앞으로 천막 같은 걸 실외기 위에 씌워서….] <br /> <br />무더위를 앞둔 올해도 냉방기기 사용량이 크게 늘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러다 보니 에어컨의 화재 우려도 큽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여름에는 서울 반포동 아파트 3층 에어컨 실외기에서 불이 나 아파트 주민이 다급히 대피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한여름인 7월과 8월은 냉방기기에서 시작된 전기 화재 사고가 몰려 있는 시기입니다. <br /> <br />전선 피복이 벗겨져 있는 낡은 에어컨은 사고를 더 주의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여름철은 에어컨을 오래 틀게 되면서 전기를 많이 쓰게 되는데 전선이 엉켜있어 스파크가 튀거나 실외기 자체가 과열돼 불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소방 당국이 파악한 에어컨 화재는 최근 5년 동안 1천234건, <br /> <br />매년 240건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건데 이 중 80%는 전선 문제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실외기가 제대로 관리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노래연습장이나 숙박시설 같은 곳이 특히 취약한데, 이런 곳 중엔 아예 좁은 실내 공간에 실외기를 다닥다닥 붙여놓는 경우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윤도 / 서울 구로소방서 화재조사관 : 한 예로 최근에 실외기 주변에서 담배를 피우다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발생한 사례가 있습니다. 허용용량이 낮은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여 과부하로 화재가 발생한 사례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실외기 공간 주변에 물건을 놓아두면 안 된다고 강조합니다. <br /> <br />[우종성 / 삼성전자 서비스센터 : 적재물이 많이 쌓여있거나 할 경우 에어컨 통풍을 방해하고 에어컨 실외기 주변이 뜨거워지기도 하고 에어컨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준수 (kjs81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1805143163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