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T 대표이사 선임 앞두고 ’첩첩산중’…"낙하산 포석" <br />KT "각계 전반으로 사업 넓혀…전문성 확대 차원" <br />대표이사 의결 기준, 60% 이상 찬성으로 상향 <br />"주주 의견 다양화"…전례 찾기 어렵단 분석도<br /><br /> <br />대표이사 선임 문제로 지난해부터 내홍을 겪는 KT가 경영 정상화를 위해 정관을 바꾸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이사 자격 요건에서 '정보통신 분야 전문성'을 '산업 전문성'으로 대체해 특정 인사 임명을 위한 포석 아니냔 의심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양일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KT가 지난 8일 내놓은 대표이사 선임 개선안입니다. <br /> <br />대표이사 심사 요건 가운데 '정보통신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'이 빠진 대신 '산업과 기술에 대한 전문성"이 들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사업 영역이 정보통신에 국한되지 않고 금융과 부동산, 미디어 등으로 확장하는 현실을 반영했다는 게 KT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자격 요건 변경이 낙하산 CEO를 위한 사전 작업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일반 기업처럼 경영하겠다면 통신사업의 규제로 얻는 기득권 역시 내려놔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권헌영 교수 / 한국IT서비스학회장 : 통신산업은 국가의 진입 규제 그리고 다양한 규제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사업인데 이 산업에 대해서 일반적인 경영전문가나 산업계 전문가로 확산하는 것은 (통신사업) 사업권을 반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차기 대표이사 후보자에 대한 주주총회 의결 기준도 출석 주주 50% 이상에서 60% 이상 찬성으로 바뀝니다. <br /> <br />이를 두고 외국인과 소액 주주 의견까지 폭넓게 담을 수 있게 됐단 긍정적인 평가도 있지만 전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시선도 따라붙습니다. <br /> <br />[김범준 / 가톨릭대학교 회계학과 교수 : 일반적으로 주총에서 보통 결의는 출석 주주의 과반이 찬성하면 결의가 됩니다. 그리고 정관 변경과 같이 특수하거나 중요한 결의는 3분의 2의 동의가 필요합니다. (60% 도출은) 좀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보입니다.] <br /> <br />KT의 정관 개정안은 오는 30일 사외이사 선임안과 함께 주총 안건으로 상정됩니다. <br /> <br />이후 빠르면 7월 안에 대표이사 최종 후보를 내놓을 계획이지만, 낙하산 CEO나 정치적 외풍 등 넘어야 할 산이 만만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YTN 양일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양일혁 (hyu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61805263944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