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2017년 경북 성주에 주한미군 사드 배치 <br />中 "안보 위협한다" 주장하며 ’한한령’ 등 보복 <br />최대 2천km 탐지할 수 있는 레이더에 민감 반응 <br />’눈치 싸움’ 속 제대로 된 시설 없이 임시 배치 <br />한중 관계 경색되면서 ’사드 3불’ 정책도 주목<br /><br /> <br />성주 사드 기지 정상화 절차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지 조성에 필수인 일반환경평가가 이르면 다음 달 완료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경색된 한중 관계 속에 중국이 예민하게 반응해온 '사드 3불' 원칙도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임성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7년 경북 성주에 배치된 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, 사드(THAAD). <br /> <br />당시 중국 당국은 자국의 안보를 위협한다며 '한한령' 등 각종 보복 조치를 발동할 만큼 유독 사드 문제에 예민하게 반응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최대 2천㎞까지 탐지할 수 있는 사드의 '눈' 'X-밴드 레이더'가 중국 주요 지역을 탐지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겅솽 / 당시 중국 외교부 대변인 (지난 2017년) :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분명하고 확고합니다. 우리는 사드 배치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합니다.] <br /> <br />중국과의 '눈치 싸움' 속에 사드 기지는 5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막사조차 없이 말 그대로 '임시 배치' 상태를 유지해 왔는데, 최근 정상화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9월 물자와 장비 조달을 위한 상시적인 지상 접근권 확보가 완료된 데 이어, 성주 기지 잔여 부지에 대한 미군 공여 절차도 마무리됐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더해 기지 내 인프라 건설에 필수인 일반환경영향평가도 이르면 다음 달 승인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 발언 논란으로 한중 관계가 경색되면서 지난 정부에서 나온 이른바 '사드 3불' 정책도 새삼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3불'은 사드 추가 배치를 하지 않고, 한미일 군사동맹에 참여하지 않으며, 미국이 주도하는 미사일 방어(MD) 체계에 들어가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우리 정부가 이 같은 원칙들을 공식화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, 정부는 합의나 약속까지는 아니란 점을 여러 차례 밝혀왔습니다. <br /> <br />군도 사드 체계는 안보 주권 사안이란 점을 거듭 상기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[전하규 / 국방부 대변인 (지난 13일) : 사드체계는 북 핵·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민 보호를 목적으로 배치된 방어수단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임성재 (lsj6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61805295608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