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치권도 공방을 이어갔습니다. <br> <br>야당은 대통령이 '제 2의 만5세 초등학교 입학 사태'를 초래했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반면 정부 여당은 대통령을 엄호하면서 공교육 경쟁력 강화와 사교육비 절감 방안에 대한 본격 논의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, 유주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의 수능 발언이 교육계를 또 혼란에 빠트렸다며 '제2의 입학연령 하향' 사태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[강득구 / 더불어민주당 교육위 의원] <br>"교육개혁을 하라고 했더니, 작년 ‘만 5세 초등입학’을 꺼내 학부모님들을 아프게 하고, 올해는 ‘설익은 수능 폭탄’을 꺼내 수험생들을 혼란에 빠뜨렸습니다."<br> <br>학부모와 학생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급하게 던져 혼선을 줬다는 겁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"교육 문외한인 윤 대통령이 수능 출제방식에 훈수질을 한 것은 잘못"이라고 비난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민주당은 조만간 교육위 전체회의를 열고 이주호 교육부 장관에게 직접 따져 물을 계획입니다. <br> <br>국민의힘은 민주당이 학부모와 학생의 불안을 조장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[유상범 / 국민의힘 수석대변인] <br>"‘사교육이 없어도 수능을 볼 수 있어야 한다’는 지극히 원론적이고 상식적인 내용을 두고 민주당은 또다시 선전선동에 나선 것입니다."<br> 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도 “사교육을 받지 않으면 풀 수 없는 문제를 내는 것은 불공정”이라며 "공정한 수능은 이미 윤 대통령이 1년 전부터 지시한 부분”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국민의힘과 교육부는 내일 당정협의회를 열고 사교육비 경감과 공교육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합니다. <br> <br>당정 협의를 거쳐 교육부는 이달 안에 사교육비 경감 대책을 내놓을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 철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br /><br /><br />유주은 기자 grac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