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난 봄, 축구장 170개 면적의 산림을 잿더미로 만든 강릉 산불 이후, 이번 여름엔 비가 많이 올 걸로 예고돼 산사태 걱정에 긴급 벌채까지 결정됐습니다 . <br> <br>강경모 기자가 산불 피해를 입었던 그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 4월 11일 8시간 만에 산림 121ha를 집어삼킨 강릉 산불. <br> <br>산에서 더이상 초록 빛은 찾아보기 힘듭니다. <br> <br>많은 비가 예보된 여름이 다가올수록 이젠 산사태 걱정이 앞서는 상황. <br> <br>커지는 불안감에 당장 경포대 주변 산불 피해지부터 긴급 벌채를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[강릉시청 관계자] <br>"(주민들도 우기 때문에 걱정도 많이 하죠.) 네 그렇죠. 벌채 사업은 6월 말쯤 산림청에서 예산이 내려오면 바로 발주할 예정입니다." <br> <br>언제쯤 보금자리를 되찾을 수 있을지는 아직 가늠조차 힘듭니다. <br> <br>폭격 맞은 전쟁터를 연상케 했던 펜션 마을도, 복구는커녕 겨우 임시 거주 시설만 들여놨습니다.<br> <br>[최영주 / 이재민] <br>"다 이렇게 흙이다 보니까 아이들이 좀 위험한 것도 있고 먼지도 많이 날리고." <br> <br>산불 당시 불에 탄 건물입니다. <br> <br>두 달이 넘었지만 여전히 뼈대만 남은 채로 방치돼 있습니다.<br><br>정해진 거처없이 아직 모텔만 전전하는 이재민들도 많습니다. <br> <br>[안회근 / 이재민] <br>"잿더미가 돼서 없어졌어요. 갈 데가 없으니까 그런 얘기는 했어요. 텐트 들고 시청으로 가겠다." <br> <br>강풍에 쓰러진 나무가 전선을 끊으며 불이 시작됐다는 조사 결과가 최근 나왔지만 시시비비를 가리는게 더 복잡해졌습니다. <br> <br>[최양훈 / 강릉산불비상대책위원장] <br>"발화 지점이 단선이기 때문에 한전의 사과와 피해보상이 있어야 됩니다. (손해배상) 소송인단을 모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" <br> <br>반면 한국전력은 수사에 성실히 임하겠다는 입장이지만, 단선 보다는 강풍이라는 자연 현상에 방점을 두는 상황. <br> <br>긴 법정 공방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민석 <br>영상편집: 김지향<br /><br /><br />강경모 기자 kk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