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도심에 있는 82년 역사의 서울백병원이 오늘 이사회를 열고 문을 닫을지 최종 결정합니다. <br /> <br />20년 동안 쌓인 천7백억 원이 넘는 적자를 해결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라는데, 병원 의료진과 직원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봅니다. 기정훈 기자! <br /> <br />서울백병원은 위치도 서울 도심에 있고, 규모도 꽤 있는 병원이잖습니까? 이런 큰 병원도 폐원을 고민할 만큼 어려운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백병원의 운영주체인 학교법인 인제학원은 지난 2004년 이후 20년 동안 서울백병원의 누적 적자가 1천745억 원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도심이 공동화되고 주변 인구가 줄어들면서 적자가 거듭돼왔다는 건데요. <br /> <br />인제학원 측은 병원을 살리기 위해 노력할 만큼 했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7년 276개였던 병상 수를 122개까지 줄이고, 인건비 절감을 위해 레지던트, 전공의를 받지 않는 인턴 수련병원으로 전환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병동을 리모델링하고 매년 30억에서 50억 원씩 투자하며 노력했지만,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고 결국 폐원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요양병원이나 전문병원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모색했지만, 이를 검토한 컨설팅업체도 중구에서의 의료사업은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백병원은 지난 1941년 '백인제외과병원'이란 이름으로 문을 열었는데요. <br /> <br />오늘 폐원이 결정되면 개원 8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서울 도심의 의료 공백이 우려되는데요 폐원은 언제 어디서 결정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예. 잠시 후인 오후 3시에 열리는 이사회에서 결정합니다. <br /> <br />서울백병원의 '경영정상화 TF'가 이달 초 폐원하는 안을 제안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 안을 이사회가 의결하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폐원이 결정되면 말씀하신대로 서울 도심, 특히 강북 지역의 의료 공백 우려가 커질 수밖에 없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10여 년 동안 서울 강북 지역의 대형병원들이 잇따라 문을 닫았는데요 <br /> <br />지난 2008년 이대 동대문병원이, 2011년엔 중앙대 용산병원이 문을 닫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 2019년엔 동대문구 제기동의 성바오로병원이, 2021년에는 중구 묵정동의 제일병원이 각각 폐원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병원이 문을 닫게 되면 의료진과 직원들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법인 측은 폐원할 경우 교직원들을 형제 병원, 즉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기정훈 (prodi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2013474447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