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교육 교과과정을 벗어나 출제되는 킬러 문항은, 교육계는 물론 사회 각층에서 강한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최상위권의 변별력을 이유로, 매년 출제가 반복됐는데요. <br /> <br />킬러 문항이 없어지면 최상위권에선 '실수'를 가장 조심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수능 국어 17번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지문에 나온 'L-그래프' 설명을 이해했는지 묻는데, 복잡한 수학 용어들이 줄줄이 나열된 탓에 정답률은 15% 수준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수학에서도 6문제당 한 개는 공교육 수준을 넘어선 문제를 냈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역시 정답률은 바닥을 찍었습니다. <br /> <br />[구본창 /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 : (교육과정에서는) 복잡한 함수를 다루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여러 함수를 복합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복잡한 계산식을 유발하는, 그래서 실제로 정상적으로 풀이를 하면 연습장 서너 페이지 나온다….] <br /> <br />킬러문항은 애초에 최상위권 학생들의 변별력을 확보하기 위한 성격이 큽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의대에 진학할 1.5%를 위해 공교육에 대한 불신을 키우고 학생들을 사교육 시장으로 내모는 부작용도 컸습니다. <br /> <br />킬러문항들이 사라지면 수능은 어떻게 될까. <br /> <br />입시업계에선 우선, 킬러 문항이 없어진다고 수능이 전반적으로 쉬워질 거란 생각은 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김병진 /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 : 사고력 중심의 측정이라든지 아니면 단계별 측정이라든지 이런 거들을 조금 더 가할 수 있는 거로 해석이 됩니다. 준킬러라고 불리는 문항들 난이도를 높여서 시간을 좀 오래 걸리게, 애들 표현을 빌면 타임어택이 걸리게 하는 거죠.] <br /> <br />다만, 최상위권에선 다시 '실수'가 당락을 가르게 될 거라는 예측에 힘이 실립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남은 기간 아는 문제도 풀이 과정과 단계를 꼼꼼하게 되짚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[이만기 / 유웨이 평가이사 : 정시 모집은 소숫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해서 둘째 자리에서 끊거든요. 그래서 사실 한 줄로 서는 건 별 문제가 안 되는데, 그 한 문제가 커트라인을 좌지우지하게 되니까 실수를 막는 것이 가장 관건이라고 저는 보고 있어요.] <br /> <br />더불어, 9월 모의고사는 새 수능의 테스트적 성격이 커진 만큼, 문제 경향과 결과를 참고는 하되 수능 최종 난이도는 얼마든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으로 대비하는 게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2017315317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