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시 20분~19시)<br>■ 방송일 : 2023년 6월 20일 (화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구자룡 변호사, 서용주 민주당 상근부대변인,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, 최병묵 정치평론가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오늘 혁신위가 닻을 올렸는데. 일단 이현종 위원님. 전반적으로 어떻게 조금 평가를 하시겠어요?<br><br>[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]<br>역시나였다. 저는 그런 생각이 듭니다. 왜냐하면 지금 처음 혁신위라는 것이 그렇지 않습니까? 혁신위라는 말이 시작할 때부터. 이 저는 역대 이 많은 정당들의 혁신위와 비대위를 봤지만 사실상 성공한 혁신위, 비대위가 거의 없습니다. 왜냐하면 항상 이 혁신위라는 것이 말이 나오면 결국 지도부가 곤궁에 처했을 때 그것을 돌파하기 위해 항상 혁신위를 내세웠거든요. 그렇기 때문에 이 의도 자체가 순수하지 않습니다. 진짜 예를 들어서 혁신을 한다고 하면 정말 당대표 본인부터 제일 먼저 대상이 되어야겠죠. 그런데 지금 민주당이 왜 혁신을 하겠습니까. 바로 이재명 대표 체제가 들어서면서 당이, 이재명의 민주당이 여러 가지 국민들로부터 불신을 받고 있기 때문에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? 그런데 오늘 김은경 위원장이 오늘 저 발언을 하면서 왜 혁신하는가에 대해서 2가지 이유를 들었어요. 바로 그것이 송영길 전 대표를 비롯한 돈봉투 사건, 그다음에 김남국 의원을 중심으로 하는 코인 사건 때문에 국민의 불신을 얻고 있다. 이렇게 이야기를 했습니다.<br><br>그런데 거기에 하나가 빠졌어요. 그것이 무엇이냐면 바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입니다. 지금 제일 중요한 문제가 바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 때문에 이 민주당이 이 모든 것을 방탄을 하고 본인 대선 끝난 다음에 바로 출마하지 않았습니까. 대표 출마하고, 당헌 80조 개정하고. 이 당헌 80조가 바로 이 김상곤 혁신위에서 만든 조항이에요. 그런데 그것을 그냥 다 개정해 버렸어요. (문재인 대표 시절에.) 그렇죠. 그러면 그런 상황에서 무슨 혁신을 한다는 말입니까? 그러니까 혁신위원회가 처음 출발할 때부터, 저는 이 김은경 위원장이 본인 아무것도 아니라고 하는데. 아무것도 아닌 분이 와서, 지금 모르는 분이 와서 어떻게 혁신을 한다는 것이죠? 그냥 길거리 가는 분 아무나 모셔놓으면 똑같은 것 아닙니까. 정치라는 것이 이것이 복잡하고 사람들과의 관계가, 역학이 복잡한 문제기 때문에 그것을 조정을 해야 하는데.<br><br>오늘 혁신위원회 구성을 보면 전체가 전부 다 이재명 대표와 인연이 있는 분들을 뽑았더라고요. 예를 들어서 민변 출신의, 참여연대 출신의 변호사부터 시작해서 또 이재명 대표 당시의 이 선대위 출신. 또 등록했던 대리인. 그다음에 이재명 대표 부인의 수행실장을 했던 분. 또 그 강성 팬덤을 옹호했던 분들. 그러니까 전체 7명이 하나같이 다 이재명 대표와 연결되어 있는 분이에요. 과연 그런데 이분이, 이분들이 김은경 위원장을 알았을까요? 저는 몰랐을 것이라고 봅니다. 그럼 이 인사를 누가 했느냐. 결국 저는 보면, 모든 인연들이 이재명 대표로 집중되는 것을 보면 결국은 이재명 대표 측에서 인사를 한 것이 아닌가. 저는 결국은 이 상황을 보면 이번 혁신위, 글쎄요. 저는 기대난망입니다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도혜원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