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2030 부산엑스포 유치의 최대 분수령이라고 했던 4차 프레젠테이션이 끝났습니다. <br> <br>사우디아라비아, 이탈리아까지 세 나라는 주어진 30분 동안 총력을 기울였는데요.<br><br>프랑스 파리 출국 전 80대 87, 박빙 열세로 시작했죠. <br><br>정확한 득표 수는 시시각각 변하고 있지만 현지 유치위 관계자는 이번 프레젠테이션 전후로 열 표 이상 한국으로 넘어온 걸로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역전의 승기를 잡았다는 게 현지 평가라는데요. <br> <br>진짜 그런지 파리 현지 연결해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1]조영민 기자, 우리나라 PT에 대한 현지 반응이 괜찮다고요? <br><br>[기자]<br>네. 대통령실은 국제박람회기구 전문가에게 프레젠테이션 직후 평가를 문의했다는데요. <br> <br>이런 답이 돌아왔다고 합니다. <br> <br>경쟁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비교해 더 이상 잘할 수 없는 PT였다.<br><br>강남스타일을 상기시킨 가수 싸이의 연설이 초반 눈길을 끌었고 윤 대통령의 마지막 연설로 확실한 인상을 심어줬다고 평가했다는데요. <br> <br>[BIE 총회 프레젠테이션] <br>"부산은 준비되었습니다. 우리는 모두 하나입니다. 함께 세상을 변화시키며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갑시다. 2030년 부산에서 만납시다. 감사합니다." <br> <br>저희가 이곳 프랑스에 도착하기 전 80대 87표 정도로 우리가 사우디에 근소한 열세를 보이고 있다는 게 우리 정부 자체 평가란 보도를 전해드렸죠. <br> <br>어제 프레젠테이션 이후 적어도 10개국 표심을 확보했다는 게 정부 판단입니다.<br><br>우리가 10개국 표를 추가로 확보해 90표 정도의 지지를 확보한 반면, 사우디는 70표 수준으로 판세가 뒤집혔다는 겁니다. <br> <br>특히 유럽 내에서 사우디 인권 문제가 공론화되면서 유럽 표심이 흔들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><br>[질문2]현지 유치전이 끝난 게 아니죠? <br> <br>네, 잠시 후 BIE 회원국들 상대로 공식 리셉션을 열고 완벽한 뒤집기에 나섭니다.<br><br>대통령 내외는 물론 4대 기업 총수, 여야 의원들까지 총출동해 회원국을 1대1로 만나 대화하며 표심을 잡는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오늘 리셉션은 대한민국이 혼연 일체가 돼 엑스포 유치를 강하게 희망한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콘셉트가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은 파리 현지 소르본 대학교 방문과 기업 투자 신고식을 끝으로 순방 두번째 방문국인 베트남으로 향합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한규성 조승현(파리)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