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'점박이 물범'이, 올해도 어김없이 백령도를 찾았습니다. <br><br>어민들은 그물 곁으로 먹이사냥을 하러 오는 물범을 쫓아내지 않고 반겨주며 공생 중입니다.<br> <br>서주희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인천에서 배로 4시간 거리에 있는 서해안 최북단 섬 백령도. <br><br>희뿌연 안개 사이로 점박이 물범이 보입니다. <br> <br>바위에 누워 햇볕을 즐기다가, 데굴데굴 굴러 바다 속으로 풍덩 빠지기도 합니다.<br><br>천연기념물인 점박이물범이 매년 찾는 백령도 해변인데요.<br><br>높이가 낮은 물범바위 중심으로 20여 마리가 쉬고 있습니다.<br> <br>멸종위기종인 점박이물범은 겨울철엔 번식을 위해 중국 랴오둥만으로 북상했다가, 봄철에 다시 남하하는 회유성 해양생물종입니다.<br> <br>까나리, 쥐노래미 등 먹잇감이 풍부한 백령도에는 매년 최대 300마리의 물범이 찾아옵니다. <br><br>그물에 담긴 까나리나 쥐노래미까지 식탐 좋은 물범들이 빼가는 탓에 화가 날 법도 하지만, 어민들은 충돌 대신 공생을 택했습니다. <br> <br>[김진수 / 어선 선장] <br>"쥐노래미 그걸 주로 먹어요. 물범들이. 어민들은 싫어하지만…이것도 보물이잖아요 백령도. 관광자원이고 앞으로도 많이 보호를 해야죠. <br> <br>[윤학진 / 백령도 어민] <br>"까나리철이라 물범들이 그물 곁으로 먹이사냥을 하러 많이 오거든요. 같이 공생을 하는 것 같아요. 작업을 하다보면 옆에 와서 장난도 치고…" <br> <br>지자체에선 물범 서식에 방해가 될까 군의 상륙저지시설인 '용치' 철거 방안도 논의 중입니다. <br> <br>[서흥원 / 한강유역환경청장] <br>"(용치가)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만, 안보 자체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은 앞으로 군부대와 협력해서…" <br> <br>환경부는 어민과 군의 양보 뿐아니라 중국 밀렵 어선, 폐어구와 해양쓰레기 절감 대책도 물범과의 공생을 위한 선결 조건이라고 말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찬우 최혁철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서주희 기자 juicy1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