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최저임금위 '인상 폭' 씨름 본격화…시한 내 처리될까

2023-06-24 1 Dailymotion

최저임금위 '인상 폭' 씨름 본격화…시한 내 처리될까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내년도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최저임금위원회가 '변동 폭'을 결정하기 위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합니다.<br /><br />노동계는 1만 2천원 대를 제시했는데, 경영계가 받아들일 가능성은 희박합니다.<br /><br />윤솔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저임금 인상폭을 놓고 노동계와 경영계의 본격적인 줄다리기가 시작됩니다.<br /><br />일단 노동계는 1만 2,210원을 제시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최저임금인 9,620원보다 26.9% 많은 금액입니다.<br /><br /> "물가가 폭등하고 노동자들의 실질임금이 대폭 삭감되고 있습니다. 최저임금이 그 어느 때보다 획기적으로 인상되어야 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. 뿐만 아니라 분배 지수가 악화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반면 '업종별 차등 적용' 관철에 실패한 사용자 위원들은 아직 최초 요구안을 내놓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그간 경영계는 최저임금을 업종별로 달리 적용 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는데, 지난 회의에서 반대 15표, 찬성 11표로 무산됐습니다.<br /><br />경영계는 "구분적용이 무산된 이상 내년 최저임금은 현재 최저임금 수준을 감당하지 못하는 어려운 업종을 기준으로 결정되어야 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동결을 요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영세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절박한 현실은 외면한 채 최저임금을 26.9% 인상하라는 것은 이들 모두 문을 닫으라고 하시는 말씀과 똑같습니다."<br /><br />이제 최저임금은 양측의 요구안을 두고 격차를 줄이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<br /><br />인상 폭을 두고 본격적인 진통이 이어질 전망인데, 최저임금 법정 심의 시한은 오는 29일로 촉박한 만큼 이를 넘겨서 처리하게 될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. (solemio@yna.co.kr)<br /><br />#최저임금 #인상 #노동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