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악 피했지만…'스트롱맨' 푸틴, 리더십에 타격 불가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모스크바 턱밑에서 극적 타협이 이뤄지면서 절체절명의 위기는 넘겼지만,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리더십에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됐습니다.<br /><br />반면, 우크라이나로선 예상치 못한 호기를 잡았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김지선 기잡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외신들은, 푸틴 대통령이 23년간 러시아를 통치한 이래 가장 심각한 위협에 직면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'충견'인 줄 알았던 프리고진에게 뒤통수를 맞은 데다, 상황 수습 역시 '부하'처럼 여기던 벨라루스 대통령 손에 맡기게 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CNN은 "푸틴의 통제력이 하룻밤 사이 무너지는 것을 목격하는 건 놀라운 일"이라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반란 사태의 여파가 당분간 지속돼 정치적 불안정을 조장하고, 푸틴 대통령의 지도력에 물음표가 제기될 공산이 큽니다.<br /><br />무리하게 전쟁을 시작해 인적, 물적 피해와 내부 분열만 키웠다는 비판에 맞닥뜨릴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영국 일간 가디언은, 과거 KGB 강경파의 쿠테타 시도가 소련의 붕괴를 가속화했던 것처럼, 우크라전이 푸틴 대통령을 권좌에서 끌어내릴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로, 2년 차에 접어든 우크라전의 전황이 급변할 것이라고 입을 모읍니다.<br /><br />당장 '바그너 그룹'의 철수로, 주요 전력에 공백이 불가피합니다.<br /><br /> "우리가 목격한 장면 중 가장 쉽고 분명한 결론은, 우크라이나가 이 방정식의 승자라는 것입니다. 러시아의 정치적 리더십은 혼란에 빠졌고, 군 수뇌부 역시 누구를 믿어야 할지 모르게 됐습니다."<br /><br />예상보다 더딘 반격 작전에 부심하던 우크라이나는, "기회의 창이 열렸다"고 반색하며, 이를 적극 활용하려는 발언을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 "여러분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? 여러분의 군대가 우크라이나에 더 오래 있을수록 러시아는 더 황폐해질 것입니다. 그 인물(푸틴)이 크렘린에 더 오래 머물수록 더 많은 재앙이 있을 것입니다."<br /><br />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와 함께, 서방에 F-16 전투기 등 추가 무기를 지원해줄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. (sunny10@yna.co,kr)<br /><br />#프리고진 #푸틴_러시아_대통령 #반역 #바그너그룹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