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17번, ’킬러문항’ 지목 <br />’기초대사량 법칙’ 관련 문항…EBS 정답률 15.1% <br />"고교생 수준 넘어선 지문·복잡한 사고 요구" <br />교육부 "출제 단계부터 ’킬러문항’ 이중 점검"<br /><br /> <br />정부가 지난 3년 치 수능에서 출제된 킬러 문항을 공개하고 올해 수능에서는 이런 문항을 내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이 같은 킬러문항을 걸래내기 위한 점검위원회를 평가원 외부에 신설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지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"최적의 직선의 기울기가 1보다 작다면 ⓐ에 ⓑ가 비례한다고 할 수 없다." <br /> <br />교육부가 '킬러문항' 사례로 제시한 2023학년도 수능 '국어영역' 17번 문항의 정답입니다. <br /> <br />'클라이버의 기초대사량 법칙'에 관한 지문의 파생 문제로, EBS 분석 기준 정답률은 15.1%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는 이 문제를 포함해 국어 7개, 수학 9개, 영어 6개 등 총 22개를 '킬러문항'으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3년간 수능과 지난 6월 모의평가에 출제된 480개 문항을 분석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국어는 주로 고등학생 수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지문이 나왔고, 수학은 여러 개의 수학적 개념을 결합해 과도하게 복잡한 사고를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영어에서는 지극히 전문적이거나 관념적이어서 해석을 하고도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됐습니다. <br /> <br />[오승걸 / 교육부 책임교육정책실장 : 공교육 과정 이외의 다른 배경지식을 가진 경우 쉽고 빠르게 풀 수 있거나, 의도적인 함정으로 실수를 유발하는 등 문제풀이 기술을 익힌 학생들에게 유리하여….] <br /> <br />정부는 앞으로 수능에서 이런 '킬러문항'을 철저히 걸러내겠다며, 출제단계부터 이중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현장 교사들로 구성한 '자문위원회'와 교육청 등 외부에서 추천한 '점검위원회'를 신설해 독립적 판단을 보장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주호 /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: 현장 교사들을 중심으로 '공정수능 평가자문위원회(가칭)'를 구성·운영하고, 수능 출제단계에서는 독립성이 보장되는 '공정수능 출제점검위원회(가칭)'를 신설하여 문항을 집중 점검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수능을 다섯 달을 앞두고 정부가 잇달아 강력한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불안감만 높아진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, <br /> <br />정부의 '공정한 수능' 정책이 실제 사교육비 감소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YTN 신지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지원 (jiwon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2623281648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