━<br /> 김대중 육성 회고록 〈7〉 <br /> 망명(亡命). 망명은 정치적 핍박과 박해를 피하려는 쫓기는 자의 고독한 운명이다. 비운의 망명객은 자신을 적대시하는 권력에 저항함으로써 존재 이유를 찾는다. ‘10월 유신’은 김대중(DJ)을 졸지에 망명 투쟁으로 내몰았다. <br /> <br /> 1972년 10월 17일, 박정희 대통령(이하 존칭 생략)의 ‘10월 유신(維新)’은 전광석화처럼 전격적이었다. “조국의 평화와 통일, 그리고 번영을 추구하는 국민 모두의 절실한 염원을 받들어 새로운 체제로의 유신적 개혁”이라고 선전했다. 그런 10월 유신은 ▶헌정 중단 ▶국회 해산과 정당 활동 중지 ▶헌법 개정안(유신헌법) 국민투표 등을 담은 초법적 조치였다. 전국에 선포한 비상계엄령은 ▶정치 집회와 시위 금지 ▶ 언론의 사전 검열 ▶대학 휴교 등을 발동했다. 사실상의 ‘친위 쿠데타’였다. 당시 도쿄 게이오대학 병원에서 고관절 치료를 받기 위해 잠시 일본에 체류 중이던 나에게는 날벼락이었다. <br /> <br /> 정치 생명 위협에 망명 결심 <br /> <br /> 서울의 아내에게 전화를 걸었다. <br /> <br /> (이희호) “심상치 않아요. 들어오시지 않는 것이 좋겠어요. 한국에선 아무것도 못 할 겁니다. 여기 걱정은 마시고, 부디 몸조심하세요.” <br /> <br /> (DJ) “어차피 국내에선 활동할 수 없을 테니 밖에서 길을 찾아보겠소.” <br /> <br /> 이국땅 호텔 방에서 뜬눈으로 번민의 밤을 새웠다. 10월 유신의 목적은 박정희의 영구 집권이며, 이에 걸림돌이 되는 대통령 연임제 철폐와 정적(政敵) 제거였다. “(71년 대선에서) 정권 교체를 하지 못하면 영원히 박정희 총통제가 될 것”이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72821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