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자율주행차 공용어' 국가 표준 제정…상용화 첫 걸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자율주행차가 제대로 운행하자면 자율차간 주고받는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게 큰 과제입니다.<br /><br />속도와 방향을 바꿀때 다같이 통용되는 데이터 형식, 말하자면 자율차 공용 언어를 만드는 건데요.<br /><br />이번에 국가표준 2가지가 처음 제정됐습니다.<br /><br />박효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차선을 달리던 자율주행차에 전방에 공사 중이란 메시지를 보내자 2차선으로 옮깁니다.<br /><br />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교차로에서 자율차가 우회전 신호를 주변 관제시스템에 보내자 사각지대에 보행자가 있음을 차량에 다시 알려옵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들끼리, 혹은 자율차와 주변 관제 시스템이 주고받는 데이터의 국가표준이 정해졌습니다.<br /><br />쉽게 말하면 '자율주행차 언어'를 만드는 작업인데, 2027년 완전한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핵심 단계입니다.<br /><br />이렇게 해야 각기 다른 제조사 차량이 도로 상황과 교통신호 등 다양한 정보를 교환해 도로 위를 안전하게 달릴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 "관련 민간 등 30여개 기관 부처가 총망라해 참여했고 이해 관계자들이 모여 토론하고 합의를 통해 국가표준을 도출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."<br /><br />당장 시행되는 국가표준은 차량의 위치와 속도, 브레이크 상태 등 기본적인 데이터와 주행할때 맞닥뜨리는 27가지 상황별로 주고 받는 데이터 2가지입니다.<br /><br />내년 하반기까지 5가지 국가표준을 추가로 제정하는데 교통 신호와 관제 메시지, 보행자 안전 메시지 등이 더해집니다.<br /><br />정부는 현 단계에서 생각할 수 있는 자율주행 상황을 7가지 국가표준에 모두 담았다고 밝혔는데, 하루과 다르게 발전하는 자율주행 기술에 맞춰 수정과 보완을 거듭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효정입니다. (bako@yna.co.kr)<br /><br />#자율주행국가표준 #KS #레벨4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