법정시한 임박 최저임금위 파행…경영계 '동결안' 제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내년도 최저임금 논의가 새 근로자 위원 선임을 놓고 갈등을 빚다 파행을 빚었습니다.<br /><br />경영계는 지난해와 같은 금액에서 최저임금을 동결하는 방안을 제시해, 27% 이상 올려야 한다는 노동계와 큰 입장차를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오는 29일까지인 법정 시한을 넘길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저임금위원회 회의는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파행됐습니다.<br /><br />근로자위원들이 노사 각 9명 같은 수를 이뤄야 한다는 위원회 원칙이 깨져 논의가 어렵다는 입장을 내고 퇴장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노동계는 망루 농성으로 구속된 김준영 금속노련 사무처장을 대신해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의 근로자위원 위촉을 요구하며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천막농성 중입니다.<br /><br /> "더는 최저임금위원회에 회의 참석이 어렵다는 점을 이 자리에서 밝힙니다. 향후 최저임금위원회 참석에 대해 앞으로 숙고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."<br /><br />고용노동부는 김만재 위원장을 망루 농성의 공동불법행위자로 보고 있는 상황.<br /><br />노동계 역시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당장 극적인 타협을 기대하기 힘들어 보입니다.<br /><br />근로자위원 전원이 빠진 회의에서 경영계는 내년 최저임금을 올해와 같은 9,620원으로 제시했는데, 시간당 1만 2,210원을 요구한 노동계와 차이가 큽니다.<br /><br />전경련이 최저시급이 1만원으로 오르면 일자리가 6만9,000개 줄 수 있다는 보고서를 내는 등 경영계는 영세기업들의 어려움이 특히 가중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.<br /><br /> "현 최저임금 수준조차 감당하기 힘든 업종을 기준으로 내년 최저임금 수준이 결정돼야 합니다. 내년 최저임금은 올해보다 인상하기 어려울 것으로…."<br /><br />양측의 갈등 격화로 최저임금 논의는 법정시한을 넘길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 (jhkim22@yna.co.kr)<br /><br />#최저임금 #법정시한 #파행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