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다음 소식입니다. <br><br>지난해 여름 폭우가 내렸을 때, 차수판 하나가 사람의 생사까지 가를 수 있다는 걸 뼈저리게 느꼈습니다.<br> <br> 그리고 벌써 1년이 흘렀지만 아직도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지 못했습니다.<br><br> 뒤늦게 차수판을 주문하는 바람에 지금 맡기면 자칫 장마가 끝난 뒤에야 설치할 수 있다고 합니다. <br> <br>남영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작업자가 스테인리스 철판을 옮겨 길이를 잽니다. <br><br>프레스기에 모양을 찍어낸 뒤 모서리 맞추고 용접까지 끝내야 차수판 하나가 만들어집니다. <br><br>작업자 5명이 주말 반납하고 하루 12시간씩 일해도 밀려드는 주문을 감당 못 할 정도입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(며칠 만에 가능할까요?) 요즘 같은 때는 보름 이상 걸립니다." <br> <br>지난해 집중 폭우 때 밖에는 차가 둥둥 떠다녀도 안쪽은 거짓말같이 평온해 '통곡의 벽'으로 불렸던 차수판. <br><br>올해도 장마가 시작되자 지하주차장, 상가, 반지하 주택용 차수판 주문이 뒤늦게 폭주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주문하는 곳도 지자체, 아파트 관리사무소, 개인까지 다양합니다.<br><br>[강한수 / 차수판 제조업체 대표] <br>"(침수를) 100% 막진 못하겠지만, 대응할 수 있는 시간과 대책을 세울 수 있는 시간을 벌 수도 있고요." <br> <br>하지만 서울시 반지하주택 전수조사 결과, 침수 우려 가구 2만 8천여 호 가운데 차수판이나 역류방지시설이 설치된 곳은 단 22%에 불과합니다.<br> <br>지난해 비 피해지역의 경우 지자체가 설치 비용을 지원하고 있지만 정작 집주인들이 침수 주택 광고하는 것이냐며 설치를 꺼리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차수판 뒷북 설치에 나선 건 공영 주차장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서울시설공단이 운영하는 주차장 25곳 중 15곳이 차수판이 없는 상황. <br><br>지난해 도림천 범람으로 물바다가 됐던 신대방역 공영주차장은 아직 공사 시작도 못 했습니다.<br><br>서울시설공단 측은 "수위측정 경보를 울리는CCTV를 먼저 설치하느라 늦어졌다"며 "현재 공장에서 차수판 제조 중이라 다음 달 3일에 공사가 시작될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장마 끝자락에 차수판 공사. <br><br>지난해 소를 잃고도 외양간도 못 고칠까 우려의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남영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윤재영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br /><br /><br />남영주 기자 dragonbal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