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-푸드 세계로…한해 150억 달러 수출 목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국 문화와 먹거리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요즘, 정부가 향후 5년간 우리 식품산업 성장 전략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고부가 가치 상품을 전략적으로 키워 시장 규모를 1,100조원 규모까지 키울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서형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의 먹거리 경쟁력 강화 방안 핵심은 첨단기술과 '한국의 맛'을 양축으로 K 먹거리를 고부가가치 수출산업화하는 겁니다.<br /><br /> "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하는 K푸드, 그리고 2027년까지 식품산업 규모를 1,100조원으로 성장하고 수출은 150억불…"<br /><br />5년내 식품산업 규모와 연간 수출액을 2배 가량 키우겠다는 게 목표입니다.<br /><br />우선 세포배양 고기, 3D 프린팅 식품 같은 미래 '푸드테크' 육성에 나섭니다.<br /><br />10개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지방에 '푸드테크 혁신 클러스터', 산학연 협력단지를 만들어, 인재양성과 기술개발, 산업화까지 선순환 구조 형성을 추진합니다.<br /><br />희귀 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, 고령친화 식품 시장 활성화도 본격 지원합니다.<br /><br />라면과 배, 딸기 등 수출 유망주를 'K-브랜드'로 지정해 현재 11개인 연 1억 달러 이상 수출 품목을 20개까지 늘리겠다고도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전통식품 산업 활성화 기반도 마련됩니다.<br /><br />수출국 맞춤형 김치와 장기 유통 기술 개발, 고추장과 된장, 간장 등 전통 장류 기반 소스 개발을 지원합니다.<br /><br />요즘 뜨고 있는 전통주 시장 확대를 위해 전통주의 개념과 범위, 원료 조달 범위 조정을 위한 '전통주산업법' 개정도 검토합니다.<br /><br />이같은 농식품 산업화를 통해 국산 원료 사용량이 2027년 800만t까지 늘어나면 농가 소득도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됩니다.<br /><br />다만 사업별 구체적 예산 책정과 지원 범위 등은 밝히지 못했는데, 향후 기획재정부와 협의가 더 필요하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#푸드테크 #그린푸드 #전통주산업법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