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렇게 집중호우가 예보되면 잠 못 이루는 곳, 바로 산사태 피해 지역들입니다.<br><br>작년에 산사태를 겪었던 곳들 괜찮을지 다시 가봤더니요. <br><br>방수포로 덮은 게 전부였습니다. <br> <br>강경모 기자가 현장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경기도 양평의 전원주택 건설 현장입니다.<br><br>울창한 나무들 사이로 온통 흙과 바위만 남아 있는 급경사지가 또렷하게 드러나 있습니다.<br><br>지난해 8월 집중호우 당시 산사태가 났던 곳입니다.<br><br>1년 가까이 지났지만 산사태 복구 공사는 임시로 방수포만 덮어놓은 게 전부입니다.<br> <br>[조건석 / 산사태 피해 주민] <br>"죽다 살아났죠. 어디 폭탄 터진 줄 알았지. 그 밑에 있는 돌은 다 떠내려온 거예요. 이번에 또 그런 일이 안 일어난다는 보장도 없고 비 오면 항상 걱정이죠." <br> <br>건축주와 건설사가 책임공방을 벌이는 사이 양평군은 뒤늦게나마 낙석 차단벽부터 세우기로 했습니다. <br><br>[양평군청 관계자] <br>"(총 공사비는) 한 1억 8천 정도예요. 추후 예산을 확보해서 공사를 할 예정이고요." <br> <br>지난 4월 축구장 1천800개 규모 산림을 집어삼킨 충남 홍성 산불. <br><br>주택 바로 옆 야산은 바닥이 휜히 드러나 보이는 민둥산이 됐습니다. <br><br>흙을 잡아주는 나무가 모두 타 죽으면서 이번엔 장마철 산사태가 날까 걱정입니다. <br> <br>[안순이 / 산불 피해 주민] <br>"걱정이죠. 우리는 비만 오면 이리로 다 내려와. 여기 지금 흙투성이 아니야. 여기는 한 번도 안 했어요. 복구라고 하는 건 아무 것도 몰라요." <br> <br>지난해 8월 산사태로 주민 7명이 고립됐던 횡성 청일면 마을. <br><br>산사태 당시 토사가 제방을 넘친 곳입니다. <br><br>1년 가까이 지났지만 여전히 그대로인데요. <br><br>아직까지 복구 공사는 시작도 못했습니다.<br> <br>복구 업체 선정조차 못한 겁니다. <br> <br>[이명규 / 산사태 피해 주민] <br>"개천 쓸고 내려온 데를 복구해야 하는데 작업은 하나도 안 이루어졌어요. 조금만 비가 오면 이제 범람을 하게 되거든요." <br> <br>관할 따지고 예산 따지는 사이 주민 불안만 커지고 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박영래 김민석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강경모 기자 kk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