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와 일본이 7년 만에 재무장관 회의을 열고 금융 위기 상황에 대비해 100억 달러 규모의 '통화 스와프'를 체결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8년 만에 재개하기로 한 이번 통화 스와프는 한일 관계 개선 분위기가 경제 현안에도 이어진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큽니다. <br /> <br />일본 현지 연결합니다. 김세호 특파원! <br /> <br />한일 통화 스와프 재개는 이번 재무장관 회의에서 가장 주목받은 의제였죠. 구체적인 합의 내용과 의미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일 경제 수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2015년 이후 중단된 한일 통화 스와프를 복원하기로 전격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5년 한일 관계가 악화하면서 종료된 지 8년 만에 체결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체결 규모는 지난 2015년 2월 종료 당시와 마찬가지로 100억 달러입니다. <br /> <br />기존 통화스와프에서는 우리나라가 원화를 맡기면 일본 측에서 엔화와 달러를 함께 빌려오는 방식이었는데, 이번에는 100% 달러화로 통화교환이 이뤄집니다. <br /> <br />일본으로서도 우리나라에 엔화를 제공하고 달러를 빌려오는 방식으로 엔화 약세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일 양국 모두 미화 100억 달러를 추가로 확보하는 셈인데, 그만큼 외환 보유액을 확충하는 효과가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는 이번 한일 통화 스와프 체결 결정은 지난 3월 한일 정상회담 이후 빠르게 회복되어 온 한일 관계가 금융협력 분야까지 복원되고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성과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한일 양국 간 유사시 상호 안전 장치를 제공하고, <br /> <br />아세안+3 등 역내 경제·금융 안정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추경호 경제 부총리는 한미일 등 보편적 가치를 공유한 국가들과 외환·금융 분야에서 확고한 협력의 틀을 마련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이를 통해 자유 시장경제 선진국들 사이 외화 유동성 안전망이 우리 금융과 외환시장까지 확대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양국은 통화 스와프 외에 공급망을 비롯한 다른 분야에서의 협력에도 합의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회의에서는 저소득국 채무조정, 공급망 강화와 같은 국제무대에서의 주요 의제에 대해서도 논의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주요 7개국, G7 논의 등을 기반으로 공급망 관련 파트너십 이행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한일 양국 간 조세 관련 사안을 원활히 협의할 수 있도록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세호 (se-3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62918230077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