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한국과 일본의 통화스와프가 8년 만에 복원됐습니다.<br> <br>양국은 비상시 서로에게 자국 통화를 맡기고 100억 달러를 빌릴 수 있게 됩니다. <br> <br>양국 관계가 경제적으로도 회복됐단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추경호 경제부총리와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상이 한일 통화스와프 복원에 합의했습니다. <br><br>통화스와프는 외환시장이 불안할 때 자국 통화를 맡기고 사전에 정해진 환율로 상대국 통화나 달러를 빌릴 수 있는 일종의 '외화 마이너스 통장'입니다.<br><br>2001년 20억 달러로 시작된 한일 통화스와프는 2012년 700억 달러까지 늘었지만 박근혜 정부 당시인 2015년 2월 만기가 연장되지 않아 종료됐습니다. <br> <br>이후 한일 외교관계가 냉각되면서 복원되지 않다가 최근 양국 정상의 만남을 계기로 8년 만에 다시 체결된 겁니다.<br> <br>이번 협정은 2015년 한일 통화 스와프 종료 당시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원화를 맡기면 일본에서 달러화를 빌릴 수 있는 방식입니다.<br><br>100억 달러 규모로 계약기간은 앞으로 3년입니다. <br><br>우리나라는 중국을 비롯해 스위스와 인도네시아·호주, 아세안 국가들까지 통화스와프를 체결했습니다. <br> <br>일본까지 합하면 규모는 1482억 달러를 넘게 됩니다.<br> <br>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은 상황에서 환율 불안정에 대비할 안전 장치가 마련된 겁니다. <br> <br>[추경호 / 경제부총리] <br>"자유시장경제 선진국들 간의 외화유동성 안전망이 우리 금융외환시장까지 확대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." <br> <br>대통령실은 "양국 관계가 금융에서도 회복된 것을 보여준 의미 있는 진전"이라며 환영했습니다. <br> <br>한일 양국은 국제 경제·금융 협력을 강화하고 조세와 관세 부문의 교류도 활성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한일 경제수장들은 매년 만날 예정입니다. <br> <br>다음 재무장관회의는 내년에 우리나라에서 개최됩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박용준(도쿄) <br>영상편집: 이승은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