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침수사고 닥쳤다면…물 차오르면 난간 잡고 게걸음 대피

2023-06-29 17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폭우가 오면 어디에서나, 침수 피해를 겪을 수 있습니다. <br> <br>건물, 또 차량에서 순식간에 물이 차오를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, 김지윤 기자가 실제 상황을 가정해 실험했습니다. <br><br>[기자]<br>집에 물이 들이차고 계단은 폭포로 변하고 차는 지붕만 남긴 채 잠겨버리는 집중호우 피해. <br><br>이곳은 침수상황을 가정해놓은 체험관입니다. <br> <br>건물 안에서, 도로 위에서 침수사고가 닥쳤을 때 어떻게 대피해야 할까요. <br> <br>직접 체험해보겠습니다.<br> <br>먼저 안전장비를 착용한 뒤 문 앞에 서 봤습니다. <br> <br>반대편에서 물이 차오르고, 수심 30cm 정강이 높이까지 물이 찼을 때 있는 힘껏 밀어보지만 문은 꿈쩍도 안 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지금 무릎 높이도 아닌데. 문이 안 열려요, 아예." <br> <br>수심 90cm. 이번에는 물이 엉덩이 높이일 때 성인 남성 2명과 함께 밀어봤습니다. <br> <br>여전히 요지부동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지금 다 전력으로 밀고 있는 거죠? (네.)" <br> <br>지난해 폭우 때 반지하에 살던 일가족 3명이 침수된 집에서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숨진 사고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[박대일 / 빛고을국민안전체험관 소방안전교관] <br>"물이 차오르기 시작하면 생각보다 훨씬 빨리 물이 차오릅니다. 징조가 보이면 다른 생각하지 말고 바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." <br> <br>지하 계단은 집중 호우 때 순식간에 폭포로 변합니다. <br> <br>발목 높이 수위에서도 균형 잡거나 앞으로 나가는 게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어우. 못 하겠어요. 물 아래가 안 보이니까 잘 못 가겠고." <br> <br>이럴 때는 물의 저항이 큰 계단 중앙보다 양손으로 난간을 붙잡고 게걸음으로 대피하는 게 빠릅니다. <br><br>신속한 대피보다 기다림이 중요할 때도 있습니다. <br> <br>갑자기 범람해 차가 물에 잠기는 상황을 가정해 봤습니다. <br> <br>시동이 꺼지고, 창문 깨고 나오는 데 실패했더라도 중요한 건 당황하지 않는 겁니다. <br><br>지금 차 안으로 물이 차오르고 있는데요. <br> <br>수압 때문에 이렇게 문도 잘 안 열립니다. <br> <br>이런 상황에서는 차량 안과 밖의 물 높이가 비슷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.<br><br>차량 안팎 수위 차이가 30cm 이내로 줄어들면 문 열기가 쉬워집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수심 비슷해지니까 확실히 문이 잘 열려요, 아까보다는." <br> <br>언제 닥칠지 모르는 침수사고. <br> <br>전문가들은 재산보다 중요한 건 생명으로 지체 없이 대피할 것을 권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윤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락균 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김지윤 기자 bond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