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리문제 대두한 인공지능…AI 규제 주도권도 경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생성형 AI, 챗GPT를 계기로 초거대 AI가 만들어 낼 무한한 가능성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죠.<br /><br />동시에 위험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각국이 규제 방안들을 마련중에 있는데요.<br /><br />한국도 주도권을 잡을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5월 SNS에는 미국 국방부 청사 인근 폭발 장면이라는 사진이 올라왔습니다.<br /><br />뉴욕증시까지 영향을 미쳤지만, AI로 만들어진 가짜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최근에는 챗GPT를 이용해 팬데믹을 일으킬 수 있는 신종 감염병을 만들 수 있다는 논문이 발표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과학자가 아니어도 AI를 활용해 위협적인 생물무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생성형 AI로 인한 허위정보 확산이 문제가 되면서 AI 규제가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유럽의회에서는 지난 14일 답변 출처 데이터 공개와 불법 콘텐츠 생성 방지 장치 마련을 담은 AI 규제법안의 초안을 세계 최초로 통과시켰습니다.<br /><br />중국과 미국은 AI기업들이 준수해야 할 가이드라인을 내놓는 등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고, 한국도 AI 산업 육성과 관련한 7개 법안을 통합한 단일안이 국회에 계류 중입니다.<br /><br />한국은 미국, 중국, 이스라엘과 함께 초거대 AI 모델을 자체 개발한 선도국으로, 부작용을 막고 산업을 육성하는 두가지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생성형 AI시장이 올해 37억 달러에서 5년 뒤 360억 달러로 10배 성장한다는 전망이 나온 터라 규제분야에 있어서도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<br /><br /> "사용자들은 윤리·책임 의식을 갖고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, 정부는 신속한 육성책을 마련하고 규제에 있어서도 주도권을 잡을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다만 AI 규제가 후발자들에 대한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이른바 '사다리 걷어차기' 성격도 있는 만큼, 우리 기업들에게 장벽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초거대AI #생성형AI #AI규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